허주 이징 필 죽조도(虛舟李澄筆竹鳥圖) 이징(李澄, 1581-1674 이후)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함(子涵), 호는 허주(虛舟). 왕족 화가 이경윤(李慶胤)의 서자이며, 화원으로 주부와 사과를 지냈습니다. 1609년(광해군 1) 원접사(遠接使)의 수행화원으로 의주에 다녀왔고, 1623년(인조 1)에는 여항문인 유희경(劉希慶)의 요청에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06.04.26
도자기와 文化 별(지구)이 탄생하고 온갖 동.식물이 생성된 이후 그들은 생존을 위한 수단은 기후변화와 환경에 따라 생리적인 변화와 진화를 거듭 가져왔고 그들 생명체는 멸종과 탄생을 반복하면서 오늘에 이르기 까지 존재를 위해서 무엇을 섭취하고 자양을 충당한다는 것은 식물이든 동물이든 자연의 섭리요 본..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2006.04.22
허주 이징 필 죽조도(虛舟李澄筆竹鳥圖) 이징(李澄, 1581-1674 이후)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함(子涵), 호는 허주(虛舟). 왕족 화가 이경윤(李慶胤)의 서자이며, 화원으로 주부와 사과를 지냈습니다. 1609년(광해군 1) 원접사(遠接使)의 수행화원으로 의주에 다녀왔고, 1623년(인조 1)에는 여항문인 유희경(劉希慶)의 요청에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06.04.21
표암 강세황 필 송하선인도(豹菴 姜世晃筆松下仙人圖) 강세황(1713~1791)의 본관은 晉州이고 자는 光之, 호는 豹菴.첨齊이며 벼슬은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參判.시헌정諡憲靖 등을 지냈으며, 정조 8년(1784)에는 진하사은부사進賀謝恩副使로 연경燕京에 다녀왔으며, 1787년에 정조어진도사감조관(正祖御眞圖寫監造官)을 역임했습니다. 산..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06.04.07
혜원 신윤복 필 장옷 쓴 여인 (申潤福) 신윤복(申潤福, 1758 ?-1817 이후)은 화원(畵員)을 지낸 신한평(申漢枰, 1726-?)의 아들이며, 김홍도(金弘道, 1745-1816 이후)와 더불어 조선 후기 풍속화의 대가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18세기 후반에 접어들면서 김홍도의 一脈과 독보적인 신윤복의 출현은 근세조선의 傳統畵風에 큰 파문..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풍속화(風俗畵) 2006.04.07
이성계 발원 사리구(李成桂發願舍利具) 朝鮮王朝 開國 直前 當代에 追仰받던 李成桂를 中心으로 한 僧 . 俗人 萬餘人의 發願을 담은 舍利具로서 1932년 6월에 金剛山 月出峰의 石函內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사리외함으로 사용된 白磁大鉢 4個와 銀製鍍金塔形舍利器, 이 사리기를 안치한 은제8각원당형감(銀製8角圓堂形..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06.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