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 2120

조선 백자(朝鮮 白慈)와 用語 理解

조선 백자는 고려 백자와는 달리 경질硬質백자로 최상품 백자는 하얀 태토에 파르스름한 투명 유약이 입혀지고 세종(1418~1450) 때 부터는 중국 왕실에서 요청할 정도로 매우 정교한 수준에 이르렀으며, 왕만이 사용하였습니다. 세조(1455~1468) 연간부터 부유한 계층에서는 화려한 백자를 향유할 수 있게 ..

분청사기(粉靑沙器)의 장식기법(裝式技法)

1. 상감(象嵌) 분청사기 시문 기법(施文 技法) 고려사람의 독창적인 기술로 유명한 상감 기법을 그대로 이어 받은 기법입니다. 처음에는 고려 청자의 기법대로 문양이 흑색과 백색의 線 위주로 되어 있지만 차츰 상감의 면적이 넓어지면서 상감이 선線에서 면面(면상감으로 부름)으로 변하며 문양이 백..

분청사기(粉靑沙器) -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用語 理解

분청사기라는 용어는 분장회청사기의 준말로 1930년 대에 한국미술사의 선각자이며 초대 개성박물관장이시던 고유섭(高裕燮1904-1944)선생이 새로 이름지은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줄임말입니다. 분청사기(분장회청사기)라는 말의 뜻은, '회청자에 분粉을 발라 꾸민 사기'(조선시..

< 23 代 純祖 재위 1800~1834. >~ < 27 代 純宗 재위 1907~1910 >

&lt; 23 代 純祖 &gt; &lt;仁陵&gt; &lt; 23 代 純祖 1790(정조 14)∼1834(순조 34) 재위 1800~1834. &gt; 純祖의 이름은 공. 자는 공보(公寶), 호는 순재(純齋)이다. 1790년 6월 18일 창경궁 집복헌(昌慶宮集福軒)에서 정조의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박준원(朴準源)의 딸 수빈(綏嬪)이다. 1800년(정조 24) 정월 왕세자..

< 22대 正祖 1752(영조 28)∼1800(정조24) 재위 1777~1800 >

正祖의 이름은 산(祘)) 자는 형운(亨運),호는 홍재(弘齋) 이다. 영조의 둘째아들인 장헌세자(莊獻世子, 일명 思悼世子)와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 김시묵(金時默)의 딸 효의왕후(孝懿王后)를 비(妃)로 맞았다. 1759년(영조 35) 세손에 책봉되고 1762년 장헌세자가 비극의 죽음을 당하자 조세(早世)한 영조의 맏아들 효장세자(孝章世子:뒤에 眞宗이 됨.)의 후사(後嗣)가 되어 왕통을 이었다. 1775년에 대리청정을 하다가 다음해 영조가 죽자 25세로 왕위에 올랐는데, 생부인 장헌세자가 당쟁에 희생되었듯이, 정조 또한 세손으로 갖은 위험 속에서 홍국영(洪國榮) 등의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