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제기(白磁 祭器 .湯器) ′탕기′는 국을 담는 그릇으로, 제사 때 쓰이는 탕기의 형태는 둥근 사발에 높은 굽다리가 붙습니다. 현재 남아있는 탕기는 조선 후기의 것이 대부분인데, 높은 굽다리에 마름모나 다각형 무늬를 뚫어 꾸미기도 합니다. 이 백자 탕기는 전체적인 모습이 깔끔하고 단정하며, 청백색 유색..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08.04.10
.백자 모사기(白磁 祭器 . 茅盤 ) 모사기는 제사 때 향로 옆에 놓는 그릇으로, 모래를 담아 가운데에 띠풀로 엮은 묶음을 꽂고 그 위에 술을 붓는 데 사용되며 ′모반(茅盤)′이라고도 합니다. 굽다리에는 높고 팔면인데 각면에는 칠보 무늬와 원 무늬가 교대로 뚫어새겨졌으며, 푸르스름한 백색 유약이 전체에 깔끔하게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08.04.10
.백자 수복강녕 무늬 대접(白磁 靑畵 壽福康寧文 大楪) 안쪽 바닥 가운데에 청화 안료로 넓게 원을 그리고, 그 안에 ′복(福)′이라는 글자를 넣었습니다. 몸통에는 장수와 부 그리고 건강을 상징하는 ′수(壽)′, ′복(福)′, ′강령(康寧)′이라고 써넣었고, 유약은 푸른빛이 도는 백색 유약을 시유하였으며 광택이 흐릅니다. 백자 수복강녕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08.04.10
. 백자 상감연꽃넝쿨 무늬 대접(白磁 象嵌 蓮唐草文 大楪) 아래 상감백자는 고려 백자의 계통을 이은 작품으로 태토는 석고와 같은 질감이고 기벽(器壁)은 얇습니다. 유약에는 부드럽고 세밀한 빙렬(氷裂)이 있으며 얇게 입혀져 있어 고운 비단결 같은 질감을 줍니다. 대접의 생김새는 중국 명나라 초기(14세기)의 대접과 매우 닮았지만 상감 기법..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08.04.10
.백자 찻주전자(白磁 茶罐) 둥근 몸체 양쪽으로 나팔형 손잡이와 귀때가 달린 찻주전자로, 입구 안쪽에는 뚜껑을 덮을 수 있도록 턱을 만들고, 뚜껑 윗면에는 반룡(蟠龍: 하늘에 오르지 못하고 땅에 서리고 있는 용)이 장식되어 있습니다. 청백색을 띠는 유약이 곱게 입혀졌으며 잘게 간 금(빙렬)은 없습니다. 백자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08.04.10
시가 쓰여진 백자 접시(詩銘 白磁 靑畵 楪匙) 시가 쓰여진 백자 접시(詩銘 白磁 靑畵 皿) 한국(韓國)-조선(朝鮮) 《15 ~ 16세기》/ 지름 21.2cm, 높이 1.8cm / 국립중앙박물관 所藏 아가리가 수평으로 낮게 벌어지고 바닥 면이 둥글고 납작한 형태의 접시를 ‘전접시’라고 부릅니다. 특히 백자 전접시 가운데 납작한 접시 면에 그림이나 시..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08.04.10
백자 난초 대나무무늬 각병(白磁 靑畵 蘭竹文 角甁) 병의 형태가 여덟 면으로 각진 팔각 병으로, 조선 중기에 많이 만들어 졌으며 조선 후기로 갈수록 몸통이 더욱 불룩해집니다. 무늬는 옅은 청화로 대칭으로 난초와 대나무를 그려 넣었는데, 전체적으로 여백을 많이 두고 필요한 부분에만 간결하게 표현하였습니다. 유약은 경기도 광주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08.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