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재 이도영 필 도원간진/貫齋李道榮筆桃源間津(扇面) 이 선면작품(桃源間津)은 이도영이 1941년에 그린 것인데 그림의 솜씨나 주제는 전통적인 조선조 후기의 화풍을 지니고 있어서 근대 회화가 모색하는 변모 같은 것은 결여되어 있습니다. 근경과 원경이 가로로 전개되면서 화면을 가득 채웠는데 복사꽃 만개한 화창한 봄기운이 아늑하게 .. 조선시대(朝鮮時代)/근대 회화(近代繪畵) 2013.01.29
수산 정학수 필 휴금방우(壽山鄭學秀筆携琴訪友) 정학수(丁學秀1884~?)는 조선 말기의 화가로서 본관은 나주(羅州). 호는 수산(壽山)이며 조선조 말기의 書藝와 竹.蘭.怪石 그림으로 이름을 떨쳤던 정학교(丁學喬)의 동생입니다. 壽山은 산수화을 잘 그렸으며, 행적으로 보아 1860년대에서 1920년대까지 생존하였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1918년 .. 조선시대(朝鮮時代)/근대 회화(近代繪畵) 2013.01.29
영운 김용진 필 열매(穎雲金容鎭筆實果) 40세에 이르러 그림을 시작한 김용진의 작품 기조는 士大夫의 餘技로서 이룩한 문인화의 세계입니다. 따라서 技보다는 정신이 앞서고 높은 文氣가 서리고 있습니다. 그는 사군자를 많이 남겼는데 그 중에서도 이 열매를 주제로 한 이 화첩은 수준 높은 운치를 보이는 좋은 그림들입니다. .. 조선시대(朝鮮時代)/근대 회화(近代繪畵) 2013.01.28
영운 김용진 필 화수(穎雲金容鎭筆花樹) 이 花樹圖 쌍폭은 김용진(穎雲 金容鎭1882~1968)이 1957년 그의 나이 74세때 그린 작품입니다. 노령에 제작한 작품인데도 필력이 힘차고 화려한 색채구도를 전개하고 있어 풍성한 감성이 넘치고 있습니다. 비록 인생은 황혼기에 접어들었지만 그의 예술은 나날이 새로운 것을 더해가는 것을 .. 조선시대(朝鮮時代)/근대 회화(近代繪畵) 2013.01.28
해강 김규진 필 묵죽도/海岡金圭鎭筆墨竹圖(雙幅) 金圭鎭(1868~1933)의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용삼(容三), 호는 해강(海岡)·만이천봉주인(萬二千峰主人)·백운거사(白雲居士). 조선조 고종5년에 태어나 1933년 65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외숙인 서예가 李喜秀에게서 서화를 배운 그는 그림에 能하였고, 墨蘭.墨竹.花鳥를 잘 그렸습.. 조선시대(朝鮮時代)/근대 회화(近代繪畵) 2013.01.28
심전 안중식 필 화조도(心田安中植筆花鳥圖) 심전(心田 安中植1861~1919)은 이 그림에서 화법이나 구도면에서 별차이가 없는 전형적인 화조도인데, 고양이 한 마리를 등장시킴으로써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비교적 정교한 細筆로그려졌는데, 이러한 세필화는 조선조 중기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화조도를 전문으로 하는 직업화가들.. 조선시대(朝鮮時代)/근대 회화(近代繪畵) 2013.01.28
심전 안중식 필 성재수간(心田 安中植筆聲在樹間)帖 이 그림은 중국 宋나라 때의 정치가이자 학자인 구양수(歐陽修1007~1072)의 유명한 "秋聲賦"를 주제로 한 것입니다. 구양수는 王安石의 富國强兵策을 반대하고 정계에서 은퇴한 중국 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입니다. 그림의 내용은 구양수가 밤을 맞아 방안에서 글을 읽고 있다가 불현듯 서남.. 조선시대(朝鮮時代)/근대 회화(近代繪畵) 2013.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