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新羅時代) 179

보상화문원와당(寶相華文圓瓦當) (보상화무늬수막새)

고운 바탕흙을 사용하였으며, 표면이 단단합니다. 문양은 6엽(葉)의 보상화문(寶相華文)으로 중앙에 커다란 자방(子房)을 두고 그 내부에 1+6과(顆)의 연자(蓮子)를 배치하였습니다. 꽃잎은 볼륨이 있으며, 구도가 매우 안정적입니다. 바깥면의 테두리에는 소형의 구슬무늬[珠文]를 배치하..

녹유귀면와(綠釉鬼面瓦) (녹유귀면와) 1475

안압지 출토유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와전류(瓦塼類)이지요. 파편을 포함하여 24,000여점이 출토되었는데, 이 중 대부분이 삼국 통일 직후부터 통일신라가 멸망할 때까지 260여년 사이에 제작된 것입니다. 그 중 귀면와(鬼面瓦)는 잡귀를 쫓는 벽사( 邪)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추녀..

기린문망와 (기린무늬곱새기와/기린문타원와당(麒麟文楕圓瓦當)

기린(麒麟)은 몸통이 비늘로 감싸있고, 소의 꼬리를 하며 한 개의 뿔이 있는 용의 머리 형태를 취하는 신기적(神奇的)이고 길상적(吉祥的) 상징성을 의미하는 동물입니다. 정선(精選)된 바탕흙을 사용하여 표면이 매끄럽고 단단한 상태이며, 외형이 타원(楕圓)으로 중앙에 기린을 배치하..

가릉빈가무늬수막새(迦陵頻伽文圓瓦當)

일명(一名) 극락조(極樂鳥)라고 부르는 가릉빈가무늬[迦陵頻伽文]로 얼굴은 사람이고 몸은 새[人面鳥身]로 표현됩니다. 테두리를 완전히 생략하고 중앙 원권(圓圈)의 문양대에 극락조를 배치하였습니다. 그리고 외부에는 복엽(複葉)으로 12엽(葉)의 연화무늬[蓮花文]을 두었고, 고운 바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