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팔찌(金製釧) 황남대총북분에서 발굴된 유물로 같은 모양의 팔찌가 다 수 발굴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특징이 없고 원형의 金棒을 둥굴게 만든 것입니다. 금제팔찌(金製釧) 寶物 韓國 (新羅) / 慶州市 皇南大塚北墳 出土 / 金製 (厚)6cm (徑)7.3 cm / 國立慶州博物館所藏 참고문헌 / 『황남대총북분발굴조..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4
금제달개달린굽다리접시(金製瓔珞附高杯). 307 부분적으로 찌그러져 있으나 깨진 곳이 없는 상태의 금제달개달린굽다리접시(金製瓔珞附高杯)입니다. 아가리는 안에서 밖으로 말아 접시와 붙어 있고 그 아래에는 현재 6개의 하트모양 달개(瓔珞)가 달려 있습니다. 접시 바닥 안쪽은 5개의 못으로 굽다리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굽다리는..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4
금제달개달린굽다리접시(金製瓔珞附高杯).306 금제달개달린굽다리접시(金製瓔珞附高杯)로 접시와 굽다리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아가리는 안에서 밖으로 말아 접시와 붙어 있고, 그 아래에는 7개의 하트모양 달개(瓔珞)가 달려 있습니다. 접시 바닥 안쪽에는 굽다리와 연결하기 위한 5개의 못구멍이 보이고, 굽다리는 2줄..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4
금제달개달린굽다리접시(金製瓔珞附高杯).305 금제달개달린굽다리접시(金製瓔珞附高杯)로 깨진 곳 없는 상태입니다. 아가리는 안에서 밖으로 말아 접시와 붙어 있고 그 아래에는 7개의 하트모양 달개(瓔珞)가 달려 있고 접시 바닥 안쪽에는 아래에 연결된 굽다리의 윗부분과 가운데에서 삐져나온 5개의 못이 보입니다. 굽다리는 2줄..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4
금제반지(金製指環) 전체적으로 폭이 좁고 윗면이 넓게 벌어져 있고, 문양은 따로 새기지 않았으며 다른 장식도 없는 간결한 모양의 반지입니다. 신라 고분에서 출토되는 여러 종류의 반지들 중에는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반지와 양산 금조총에서 출토된 반지등과 같은 누금기법(금알갱이를 붙여서 표..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11
금관 황남대총북분(皇南大塚北墳北墳金製冠) 둥근 머리테(大輪)에 3개의 나무모양 장식(樹枝形 立飾)과 2개의 사슴뿔모양 장식(鹿角形 立飾)이 금못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으며, 6개의 드림장식(垂下飾)이 달려있는 금관입니다. 둥근 머리테에는 위와 아래에 점무늬띠(點列文帶)의 구획이 있고 각각의 구획 안에는 파도모양(波狀文)과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10
천마총금제나비모양관장식(天馬塚金製蝶形冠飾) 얇은 금판(金板)을 오려만든 관장식(冠裝飾)으로 자작나무껍질로 만든 관모(冠帽)의 앞부분에 꽂았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전체적인 외모는 의성(義城) 탑리(塔里) 3곽에서 출토된 전형적인 나비모양과는 달리 부엉이와 같은 조류(鳥類)가 날개를 편 모습과 유사합니다. 조익형관식(鳥翼形..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