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新羅時代) 179

新羅 歷代 王 23代 법흥왕(法興王)~ 33代 성덕왕(聖德王)

재위 514~540.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원종(原宗). 지증왕의 원자이며, 어머니는 연제부인 박씨(延帝夫人朴氏)이고, 왕비는 보도부인 박씨(保刀夫人朴氏)이다. 신장이 7척이나 되고 도량이 넓으며 남을 사랑하였다고 한다. 법흥왕은 지증왕 때 일련의 개혁정치를 계승하여 중앙집권적인 고대국가로서의 통치체제를 완비하였다. 이같은 점에서 먼저 주목되는 것은 517년에 설치한 중앙관부로서 병부(兵部)의 존재이다. 신라에서 중앙관부로서는 병부가 제일 먼저 설치되었는데, 이것은 중앙집권적 고대국가체제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군사권을 왕이 직접 장악함으로써 왕권을 강화할 수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즉, 517년에 비로소 설치된 병부는 눌지왕 이후에 등장하여 왕의 직속..

新羅 歷代 王 17代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22代 지증왕 (智證王)

재위 356~402. 성은 김씨.구도갈문왕(仇道葛文王)의 손자이며, 각간(角干) 말구(末仇)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휴례부인(休禮夫人) 김씨이고, 왕비는 미추이사금의 딸인 보반부인(保反夫人) 김씨이다. 《삼국사기》의 기록에는 미추이사금의 사위라 하였으나, 《삼국유사》의 왕력(王曆)에는 미추이사금의 아버지인 구도갈문왕의 아들, 또는 미추이사금의 동생인 각간 말구의 아들이라고 기록하여 미추이사금의 동생 또는 조카로도 알려지고 있다. 이처럼 계보는 확실히 알기 어려우나, 다만 미추이사금과 일정한 근친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만은 확실하다. 아마도 이 때문에 흘해이사금이 후계자가 없이 죽은 뒤에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왕이라는 칭호 대신에 《삼국사기》에는 '이사금(尼師今)'으로 기록되어 있고, 《삼국유..

新羅 歷代 王 1代 혁거세거서간~< 16代 이사금(尼師今)

(재위 BC 57∼AD4). 신라 박(朴)氏의 시조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박혁거세'라고 부른다. 혁거세(赫居世)는 진한 6부의 하나인 양산촌 출신이며 서기전 69년에 태어나 열세살이 되던 57년에 왕위에 올랐으며 이후 세력을 확대하여 진한 6부를 장악하였습니다. 신라어로 표주박이라는 뜻의 박(朴)을 성씨로 삼았는데, 이는 그가 알에서 나왔고, 알이 표주박처럼 생긴 데서 기인한 것이라고 전한다."혁거세"는 '불구내'라고도 불렀다고 하는데, 이는 광명으로써 세상을 다스린다. 는 뜻으로 아마도 '혁거세'는 '불구내'의 뜻을 한자로 옮겨 적은 듯하다. 혁서세왕의 칭호는 '거서간(居西干)' 또는 '거실한' 이었는데 이는 신라어로 왕 또는 귀인을 지칭하는 말이다..

신라인의 기원과 시조

신라인들은 누구일까 아주 미미한 옛 기록으로 고대 역사를 정립한다는 것은 마치 소설과 같은 이야기지만 그 적은 기록과 유물의 형태나 색깔에서 그 유래를 정립해 사실에 가까운 역사를 기술 정립해야 겠지요. 우리는 신라인들이 중국대륙에서 흘러온 종족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