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新羅時代) 179

8엽보상화·꽃무늬 수막새(八葉寶相華·花文圓瓦當)

보상화는 천상의 꽃으로 통일시대에 널리 유행하였습니다. 8 꽃잎의 보상화로 구성되었으며, 다시 두 원 좁은 간격을 두고 사다리 모양으로 집선을 둔 테두리를 구획하고, 그 안에 아홉개의 씨(蓮子)가 있는 씨방이 있습니다. 보상화 꽃잎은 선이 넓어 중후하면서도 넉넉하게 보이며 바깥쪽에 돋은 테..

남궁지인명수막새(南宮之印銘圓瓦)

삼국시대 토기 . 기와에는 명문이나 印章을 압출하거나 새긴 것이 더러 있는데, 이러한 유물들의 그 명문의 내용이 시대와 형식을 제시함으로 유사한 유물의 시대 별 형식과 파악하고 역사를 읽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이 기와는 남궁지인(南宮之印)이란 각인으로 보아 남궁 건물에 올..

인동보상화무늬수막새(忍冬寶相華文圓瓦當)

막새면의 일부는 트고 잔금(龜裂)이 나있으나 깨진 곳은 없습니다. 구운 온도는 비교적 낮으나 단단하고 회색을 띱니다. 막새면에는 안쪽에 원을 돌렸는데 원 안쪽에는 인동무늬(忍冬文), 바깥쪽에는 보상화무늬(寶相華文)가 새겨져 있고 막새면 가장자리에는 구슬무늬(連珠文)가 돌려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