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조문수막새(雙鳥文圓瓦當) 쌍조문수막새[雙鳥文圓瓦當] 또는 봉황무늬수막새[鳳凰文圓瓦當]로 불리는 월지(池) 출토품입니다. 태토(胎土)는 모래가 약간 혼합되고 단단하며[硬質系] 회색(灰色)이며, 문양은 두 마리의 새와 보리수 나무, 그리고 상하(上下)의 꽃잎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두 마리의 새는 연꽃 위에 앉..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7
탑상문전돌 . 녹유전돌 . 연화문전돌(塔像 . 綠釉 . 蓮花文塼) 탑상문전돌(塔像文塼) 신라시대/경주 삭장사址/19.0×8.0×3.8cm/ 동국대학교(경주) 탑상문전돌(塔像文塼) 신라시대/21.5×6.1×4.6cm/ 경남 통도사 연화문전돌(蓮花文塼) 신라시대/19.0×8.0×3.8cm/ 국립중앙박물관 녹유전돌(綠釉塼) 신라시대 / 14.0×14.0×6.4cm /동국대학교 (경주)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7
8엽보상화·꽃무늬 수막새(八葉寶相華·花文圓瓦當) 보상화는 천상의 꽃으로 통일시대에 널리 유행하였습니다. 8 꽃잎의 보상화로 구성되었으며, 다시 두 원 좁은 간격을 두고 사다리 모양으로 집선을 둔 테두리를 구획하고, 그 안에 아홉개의 씨(蓮子)가 있는 씨방이 있습니다. 보상화 꽃잎은 선이 넓어 중후하면서도 넉넉하게 보이며 바깥쪽에 돋은 테..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남궁지인명수막새(南宮之印銘圓瓦) 삼국시대 토기 . 기와에는 명문이나 印章을 압출하거나 새긴 것이 더러 있는데, 이러한 유물들의 그 명문의 내용이 시대와 형식을 제시함으로 유사한 유물의 시대 별 형식과 파악하고 역사를 읽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이 기와는 남궁지인(南宮之印)이란 각인으로 보아 남궁 건물에 올..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기린문타원형와당(麒麟文楕圓瓦當) 기린(麒麟)은 몸통이 비늘로 감싸있고, 소의 꼬리를 하며 한 개의 뿔이 있는 용의 머리 형태를 취하는 신기적(神奇的)이고 길상적(吉祥的) 상징성을 의미하는 동물입니다. 정선(精選)된 바탕흙을 사용하여 표면이 매끄럽고 단단한 상태이며, 외형이 타원(楕圓)으로 중앙에 기린을 배치하..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수키와(圓瓦) 연결턱을 가진 수키와로 턱의 일부가 깨진 상태이고, 구운 온도는 낮은 편이나 단단하며 회색을 띱니다. 바탕흙에는 모래와 이물질이 섞여 있고 기와등에는 별다른 무늬는 없으나 지문(指文) 자국이 조금 남아 있으며 안쪽에는 잔금(龜裂)이 보입니다. 수키와(圓瓦) 韓國 - 統一新羅 《世..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인동보상화무늬수막새(忍冬寶相華文圓瓦當) 막새면의 일부는 트고 잔금(龜裂)이 나있으나 깨진 곳은 없습니다. 구운 온도는 비교적 낮으나 단단하고 회색을 띱니다. 막새면에는 안쪽에 원을 돌렸는데 원 안쪽에는 인동무늬(忍冬文), 바깥쪽에는 보상화무늬(寶相華文)가 새겨져 있고 막새면 가장자리에는 구슬무늬(連珠文)가 돌려져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