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꽃무늬 곱새기와(蓮花文望瓦) 곱새기와는 장식 기와의 일종으로 지붕마루 끝에 사용하는 기와입니다. 외형이 마치 잠망경처럼 보이는 이 기와는 내림마루와 귀마루 끝단에 주로 사용됩니다. 무늬를 보면 겉테두리에는 점문열을 두르고 그 안에 겹꽃잎 형식을 2단으로 돌리고, 중앙 씨방에는 19개의 연꽃씨를 촘촘하게 배치하였습..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8.01.06
통일신라(統一新羅 7세기) 십이지-토끼(蠟石製十二支像-卯) 전 김유신 장군묘 주위에서 곱돌로 만든 말⋅돼지⋅토끼의 십이지신장상이 출토되었습니다. 특히 토끼 머리에 사람 몸을 한 십이지상은 바위 위에 발을 벌리고 서 있는 당당한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몸에는 정교하고 화려한 장식의 갑옷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긴 소매와 펄럭이는 옷자락..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8.01.06
통일신라(統一新羅 8세기)십이지-뱀(蠟石製十二支坐像-巳) 십이지상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기 전까지는 밀교의 영향으로 호국적 성격을 지녔으나 삼국통일 이후에는 방위신으로 그 신격이 변모해갔습니다. 이것은 능묘(陵墓)의 호석에도 영향을 주어 구릉형의 무덤 밑부분을 원형으로 돌리고 각각 십이지신상을 안치합니다. 이 십이지상은 곱..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8.01.06
뼈단지(塔形骨壺) 뚜껑 있는 합으로 네 개의 직사각형 굽구멍[透窓]이 뚫려 있는 낮은 굽다리[臺脚]가 부착된 형태로, 뚜껑 꼭지는 3층의 탑모양으로 장식한 특이한 형태입니다. 꼭지를 중심으로 ′십(十)′자 형식으로 드림부 근처까지 침선을 넣었습니다. 세로방향으로 두 줄의 침선을 긋고 그 내부를 가..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8.01.05
녹유귀문사이부녹유골호(綠釉鬼文四耳附骨壺) 사람의 죽엄를 화장한 뒤 뼈를 추려 담아 땅에 매장할 때 사용하던 용기를 골호(骨壺 : 뼈단지)라 하며 뼈단지의 용기의 갯수는 분명하지 않으나, 화장한 뼈를 직접 담는 內용기와 이 내용기를 넣는 外용기로 구성됩니다. 이 골호는 소성양호한 도질제로 전면에 암갈색녹유가 발려졌습니..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8.01.05
금제 귀걸이(金製太環耳飾) 이 귀걸이는 중심 고리를 얇은 도금판 두 개를 붙여 둥글게 만든 굵은 고리식 귀걸이로, 가운데 부분에 이어 붙인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노는 고리 아래에는 여러 개의 작은 원형고리를 연결해서 만든 구형의 장식에 외부선에 작은 구슬로 이어 돌린 나뭇잎 모양의 달개 다수를 2단으로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8.01.05
금제세환이식(金製細環耳飾) 금령총에서 출토된 금 귀걸이 입니다. 중간고리와 달개 사이에는 엮어 느린 줄이 있고 달개는 고리가 달린 방울인데 일정한 구확을 두고 돌점선으로 마름모를 구획하고 그 안에 반구의 작은 녹색의 옥을 장식한 金鈴耳飾 입니다. 귀걸이는 중심 고리가 굵은 것과 가는 것이 있습니다. 노..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8.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