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동무늬수막새 (忍冬文圓瓦當) 꽃잎은 중앙에 돌출된 자방(子房)을 두고 4엽(葉)의 인동무늬[忍冬文]를 크게 배치하였고 가지는 양감이 있을 뿐 아니라 꽃잎의 공간 활용이 적절하여 균형미를 보입니다. 바탕흙은 매우 치밀한 상태이고 표면은 단단한 상태를 이룬 아름답고 미려한 문양이 돋보입니다. 인동문원와당(忍..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圓瓦當) 8엽(葉)의 연화무늬(蓮花文) 수막새는 삼국시대에 유행하는 형식으로 바탕 흙은 매우 치밀한 상태이고 경도는 높은 편입니다. 중앙에 큼직한 자방(子房)을 배치하고 내부에 소형(小形)의 연자(蓮子)를 두었습니다. 꽃잎은 양감있게 처리하였고 꽃은 약간 들려 반전(反轉)되었습니다. 연화..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연꽃보상화무늬타원수막새(蓮花寶相華文楕圓瓦當) 다섯 부분으로 조각난 것을 붙여 놓은 것으로 일부분이 부서져 없어진 연꽃보상화무늬타원수막새(蓮花寶相華文楕圓瓦當)입니다. 회색(灰色)을 띠고 있으며 구운 온도(燒成度)가 높아 단단한 편입니다. 막새면에는 약간 솟아난 씨방(子房部)에 4잎의 연꽃무늬(蓮花文)가 표현되어 있고 그..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圓瓦當) 막새면의 일부가 조금 부서진 상태이나 완전한 모양을 하고 있는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圓瓦當)입니다. 연잎이 겹잎으로 표현되었으며 씨방에는 6개의 蓮子가 있습니다. 회색을 띠고 있으며 구운 온도(燒成度)는 비교적 낮으나 단단한 편이며 막새면에는 많은 양의 이물질이 붙어있습니..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圓瓦當) 가장자리(周緣帶)의 극히 일부가 깨진 상태의 수막새로 단단하며 적갈색을 띠나 일부분은 흑색을 띱니다. 안쪽에는 4잎, 바깥쪽에는 9잎의 연꽃무늬(蓮花文)가 새겨져 있고 비교적 턱이 낮은 가장자리에는 구슬무늬(連珠文)가 새겨져 있습니다.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圓瓦當) 韓國 - 統一..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圓瓦當) 가장자리(周緣部)의 극히 일부만이 깨진 완형입니다. 구운 온도는 비교적 낮은 편이나 단단고 회색이며 막새면에는 말릴 때 생긴 잔금(龜裂)을 막기 위해 보충한 흙 자국이 남았으며 기와등은 물손질된 상태입니다.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圓瓦當) 韓國 - 統一新羅 《世紀》 / 慶州市 出土..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圓瓦當) 기와등의 일부가 남아 있는 상태이며 가장자리(周緣部)의 일부분이 닳아 없어지기는 하였지만 완전한 모양를 지니고 있는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圓瓦當)입니다. 회색(灰色)을 띠고 있으며 구운 온도(燒成度)는 낮으나 단단한 편입니다. 씨방부(子房)에는 5개의 연자가 있으며 연꽃잎(子葉..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