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圓瓦當) 막새면과 가장자리(周緣部) 일부가 부서져 떨어져 나간 것을 붙여 놓은 것으로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圓瓦當)입니다. 회색(灰色)을 띠며 구운 온도(燒成度)가 높아 단단한 편이며 바탕흙(胎土)은 비교적 입자가 곱고,. 막새면은 이중의 연꽃무늬(蓮花文)로 연자(蓮子)는 반원모양으로 솟아..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圓瓦當) 가장자리(周緣部)가 아주 조금 닳아 없어졌으나 대체로 온전합니다. 단단하며 회색을 띠고 바탕흙에는 모래가 조금 섞여 있습니다. 안쪽에는 가는 연꽃무늬(細葉蓮花文), 씨방에는 1+8개의 씨앗이 새겨져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구슬무늬(連珠文)가 새겨졌으며, 기와등에는 수키와를 붙였..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연꽃덩굴무늬수막새(蓮花唐草文圓瓦當) 깨진 부분은 없고 막새면에는 닳아 없어진 부분이 있지만 완전한 모양을 갖추고 있는 연꽃덩굴무늬수막새(蓮花寶相華文)입니다. 회색(灰色)을 띠고 있으며 구운온도(燒成度)가 높아 비교적 단단한 편이고, 막새면에는 원(圓)으로 안쪽과 바깥쪽을 나누어 안쪽에는 연꽃무늬(蓮花文)를,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사자무늬수막새(獅子文圓瓦當) 사자(獅子)는 위엄적(威嚴的) 외모와 함께 불법(佛法)의 수호자적 역할을 합니다. 이 사자문수막새는 바탕흙은 정선(精選)되었으나, 표면이 매우 거칠며, 문양면(文樣面)의 중앙에 소형(小形)의 구슬무늬[珠文]로 자방(子房)을 마련하고 그 내부에 사자를 두었습니다. 사자는 앞발을 뻗고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사자무늬수막새(獅子文圓瓦當) 두 조각난 것을 붙여 놓은 것으로 가장자리(周緣部)와 막새면의 일부가 부서져 없어진 사자무늬수막새(獅子文圓瓦當)입니다. 회색을 띠고 있고 구운 온도(燒成度)가 높아 단단하며 바탕흙(胎土)은 비교적 입자가 고운 편이고, 막새면에는 구슬무늬띠(蓮珠帶)로 안쪽과 바깥쪽을 구분하여..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불상무늬수막새(佛像文圓瓦當) 고운 태토에 단단하게 구워진 회색기와로 돋아올린 바깥 테두리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슬무늬를 표현되어 있고 안쪽 면 위에 범어(梵語文)글자가 있고 중앙부에 주된 무늬(主文)로 여래좌상이 돋을 문양으로 새김되었으며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이 각각 구슬무늬(珠文)로 표현되었으..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
봉황문원와당(鳳凰文圓瓦當) (봉황무늬수막새) 쌍조문수막새[雙鳥文圓瓦當] 또는 봉황무늬수막새[鳳凰文圓瓦當]로 불리는 안압지(雁鴨池) 출토품입니다. 태토(胎土)는 모래가 약간 혼합되고 단단하며[硬質系] 회색(灰色)이며, 문양은 두 마리의 새와 보리수 나무, 그리고 상하(上下)의 꽃잎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두 마리의 새는 연꽃 위..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