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승얼굴무늬 기와(鬼面瓦) 통일신라시대에도 짐승얼굴무늬 수막새와 짐승얼굴무늬 암막새가 꾸준히 제작되는 가운데 건물의 내림마루와 귀마루(처마마루) 끝에 부착하는 짐승얼굴무늬 기와가 본격적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하였습니다. 통일신라시대의 지승얼굴무늬 기와는 대량생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형태와 구..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7
치미(치尾) (사람얼굴무늬망새) 투구모양의 이 망새[е尾]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것 가운데에서 가장 큰 것으로 대형이기 때문에 상, 하부를 따로 분리하여 구운 것이다. 망새는 용마루 양쪽에 올려져 화재를 예방하는 벽사적 기능과 함께 건물을 장엄(莊嚴)하는 장식물로 사용되었다. 황룡사지의 금당에 사용되..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7
연화문망판와(蓮花文望板瓦) (연꽃무늬사래기와) 이 기와는 내림마루와 추녀마루가 교차하는 곳과 추녀 끝에 장식용으로 사용되었다. 형태는 대략 4각형을 이루지만, 윗부분은 약간 둥글다. 문양은 상·하 커다란 연화무늬[蓮花文]과 양측에 단순한 연화무늬 그리고 네 모서리에 당초무늬[唐草文]를 두었다. 각으로 이루어진 테두리는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7
천마문암막새(天馬文平瓦當) 구름무늬를 가운데 두고 하늘을 나는 천마상(飛天馬像)이 좌우에서 마주 향해 날개짓과 근육이 팽배한 뒷다리를 힘차게 뻗어 나가는 박진감 넘치는 역동적인 모습이 돋을무늬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주변 여백에는 火氣와 구름무늬가 표현되었습니다. 테두리에는 원형의 돌기가 배치되..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7
포도넝쿨무늬 암막새(葡萄唐草文平瓦當) 암막새는 지붕에 사용되는 암키와 끝에 막음 장식을 하는 기와로 드림새가 붙는데 이 드림새에 각종 무늬를 나타냅니다. 넝쿨무늬[唐草文]는 이 시기에 가장 보편화된 무늬 가운데 하나이며 수막새와 마찬가지로 각종 식물무늬뿐만 아니라 동물무늬 등 여러 가지가 표현됩니다. 이 암막..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7
사자무늬수막새기와(獅子文圓瓦當) 짐승얼굴무늬는 짐승의 얼굴을 표현한 것으로 주로 건축물이나 공예품에 사용되어 재앙을 물리치는 상징으로 표현되었습니다. 기와에 이 무늬가 쓰인 것은 삼국시대부터이며, 짐승얼굴의 표현된 모습에 따라 시대상을 알 수 있기도 합니다. 통일신라시대가 되면 짐승얼굴무늬기와가 대..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7
보상화·꽃무늬 수막새(寶相華·花文圓瓦當) 통일신라시대가 되면, 홑잎의 연꽃무늬로 장식되던 기와는 꽃잎 안에 자엽(子葉)이 배치되고 테두리 부분에 구슬무늬나 작은 꽃잎무늬가 배치되는 새로운 형식의 연꽃무늬 수막새로 변화됩니다. 여러 잎[複瓣] 양식은 꽃잎 안에 세로로 이루어진 능각이나 능선에 의해 꽃잎이 좌우로 나..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7.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