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와는 내림마루와 추녀마루가 교차하는 곳과 추녀 끝에 장식용으로 사용되었다.
형태는 대략 4각형을 이루지만, 윗부분은 약간 둥글다. 문양은 상·하 커다란 연화무늬[蓮花文]과 양측에 단순한 연화무늬 그리고 네 모서리에 당초무늬[唐草文]를 두었다. 각으로 이루어진 테두리는 문양면보다 높게 돌출되었다. 중앙과 각 모서리에 각 1개의 원공(圓孔)이 관통되어 당시 부착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金有植)
灰白色의 매우 精選된 胎土를 이용하였으며 네방향으로 넓은 周緣을 설치함. 上段은 弧形으로 彎曲되고 下段部은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음. 內部에는 上下2곳의 蓮花文이 施文되었는데 單瓣 6葉의 蓮瓣과 間葉으로 장식되었고 내부 子房部는 1+8顆의 蓮子를 두고 外區를 沈線으로 구획하고 連珠文을 배치함.
左右로는 8葉 蓮花文을 시문하고 4곳의 여백에는 忍冬唐草文으로 장식함. 中央에 1개와 네 모서리에 각각 5개의 圓孔이 貫通됨. (申龍澈)
연화문망판와(蓮花文望板瓦) (연꽃무늬사래기와)
韓國 - 統一新羅 《 世紀 》 /慶州市 皇龍寺址 出土 / (土製 硬質) 高 45.7 cm 幅 38 cm 厚 3.8 cm / 國立慶州博物館 所藏
참고문헌 : 『황룡사지(皇龍寺址) 발굴보고서(發掘報告書)』 도판(圖版) 256. 『국립경주박물관』1997. 도록 82
'신라시대(新羅時代) > 신라 유물(新羅 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짐승얼굴무늬 기와(鬼面瓦) (0) | 2007.10.27 |
---|---|
치미(치尾) (사람얼굴무늬망새) (0) | 2007.10.27 |
천마문암막새(天馬文平瓦當) (0) | 2007.10.27 |
포도넝쿨무늬 암막새(葡萄唐草文平瓦當) (0) | 2007.10.27 |
사자무늬수막새기와(獅子文圓瓦當) (0) | 2007.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