豆滿江流域의 無文土器(두만강유역 민무늬토기) 두만강유역의 무문토기는 기본적으로는 末期 櫛文土器를 계승한 것이나 빗살무늬櫛文가 사라지고 褐色無文土器와 赤色磨硏土器가 증가합니다. 적색마연토기는 정선된 태토로 빚어 器壁이 얇고 표면을광택나게 마연한 후 酸化鐵을 발라 붉은 색을 내었습니다. 器形은 보시기.대..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06.22
南韓의 無文土器 器種(민무늬토기 종류) 남한의 민무늬토기는 토기 표면에 아무런 문양이나 마연이 없고 태토에 사립砂粒이 섞인 적갈색의 무문토기입니다. 중부이남에서 발견되는 무문토기의 기종器種은 호壺.옹甕.심발深鉢.완碗(!).豆 등이있습니다. 이러한 기종은 전기부터 후기까지 계속되는데 전기에는 깊은바리..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06.22
孔列文土器 . 口脣刻目土器 .(공열무늬토기.구순각목토기.팽이형토기) 토기 주둥이口脣 바로 아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열문을 횡橫으로 배치한 심발형토기深鉢形土器입니다. 구멍은 안쪽에서 뚫은 것과 바깥쪽에서 뚫은 것이 있는데 모두가 완전히 구멍을 내지 않고 반쯤만 관통하여 반대편이 불룩 튀어 나오게 됩니다. 孔列은 1줄이 원칙이나 ..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06.22
各種 摩製石器(간석기) 청동기시대의 석기는 대부분 간석기로써 일상 생활에 폭 넓게 사용되었습니다. 신석기시대보다 발달된 제작 기법과 농경에 바탕을 둔 생활상의 변화로 종류도 다양해 졌으며 형태도 보다 정형화되었습니다. 농구로는 돌칼.낫.괭이.가래.갈돌.갈판 등이, 공구로는 돌도끼.홈자귀.대팻날.끌.숫돌 등이 ..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06.22
磨製石器製作砥石(간석기제작숫돌) 지석(砥石) 숫돌의 출현은 摩製技術의 직접적인 증거입니다. 숫돌의 석재로는砂岩材가 대부분이나 미세한 부분에는 泥岩材를 사용했습니다.숫돌의 형태는 장방형.원형.타원형 등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것은 이미사용처에 다른 용도가 분화되었음을 의미하며 도구의 제작가정의 정도에 따라 입..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06.22
<農耕文靑銅器>의 解說 아랫부분이 손실된 <농경문청동기>는 전체적으로 대전 槐亭洞에서 출토된 방패형 청동기와 유사 형태입니다. 그러면서도 좌우가 날카롭게 삐쳐있어 언뜻보면 기와집의 가옥형태를 연상케 하며, 또한 인근 아산 남성리에서 출토된 방패형 청동기와도 유사한데, 남성리의 것은 마치 사람이 사지를..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6.08.01
靑銅器時代. (청동기)理解 靑銅은 구리를 기본으로 하는 구리합금의 한 종류로서 인류가 발견한 최초의 합금입니다. 일반적으로 구리와 주석을 섞어 만드나 주조할 때 熔融點을 내리고 주조 후 표면처리와 마감처리를 편하게 아연.납 등을 섞기도 합니다. 특히 아연을 섞은 것은 우리나라 특유의 합금술로서 주조시 유동성에 ..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6.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