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시대(百濟時代) 261

백제 청원 주성리유적(淸原 主城里遺蹟)

淸原 主城里遺蹟은 오창 송대리와 상평리 유적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무덤 유적으로 토광묘, 석실분, 석곽묘 등이 발견되었으며, 토광묘 중에는 木槨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토기류와 철촉, 살포, 철부 등의 철기류, 재갈 . 귀걸이 . 등이 출토되는데, 특히 1호 석실은 右偏道 橫穴式..

백제 원주 법천리유적(原州 法泉里遺蹟)

原州 法泉里遺蹟은 남한강과 섬강이 합류하는 지역에 위치하는 한성도읍기 무덤군으로 1973년 수습조사에서 동진(東晋 : 317~418)製 羊形靑磁와 鐎斗, 鐙子, 銜 등이 수습되었습니다. 1999년 정식 학술조사가 이루어져 토광묘와 석실분, 석곽묘 등이 확인되었는데, 金製 細環耳飾, 蓮花文 靑銅容器 蓋, T字..

백제 천안 두정동유적(天安 斗井洞遺蹟)

天安 斗井洞遺蹟은 住居址와 墳墓가 복합된 유적으로 해발 141m의 능선 사면에서 백제시대의 봉토분 1기와 토광묘 22기, 옹관묘 11기 등이 조사되었습니다. 그중 封土墳은 중서부지역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것으로 서울 가락동 2호분과 함께 출현기의 古塚古墳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木棺..

백제 화성 마하리유적(華城 馬霞里遺蹟)

華城 馬霞里遺蹟은 해발 200m 내외의 구릉 사면에 위치하며 5기의 목곽묘와 21기의 석곽묘가 조사되었습니다. 木棺墓와 木槨墓가 조영되는 지시와 석곽묘가 주묘제로 자리하는 시기로 구분됩니다. 토기는 심발형토기와 壺類가 중심을 이루며 素刀子, 鐵鉾, 鐵鎌, 등의 철기류와 유리구슬이 출토되었습..

백제 한성시대 천안 용원리유적.유물(天安 龍院里遺蹟)

天安 龍院里遺蹟은 천안 화성리유적과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광묘 137기와 수혈식석곽(실)분 13기가 조사되었습니다. 토광묘에서는 有蓋黑色磨硏土器 등의 土器類와 銀象嵌環頭大刀, 三葉文 環頭大刀 등 武器類, 鐙子. 銜 . 등의 馬具類, 金製耳飾 및 玉製品 등의 장신구류 등이 출토되었고, 석실분에..

백제 한성시대 천안 화성리유적(天安 花城里遺蹟)

天安 花城里遺蹟은 천안 용원리유적과 함께 중부지역에 위치하는 대표적인 한성도읍기 토광묘 유적으로 중국 東晋時代 靑磁盤口壺와 銀象嵌大刀 등이 출토되었습니다. 토기류는 深鉢形土器, 直口短頸壺, 黑色磨硏土器 등이 출토되었는데, 서울 석촌동 광묘 유적과 동일한 토기 출토양상을 보여주고..

백제 청주 신봉동유적(淸州 新鳳洞遺跡)

청주 신봉동유적(淸州 新鳳洞遺跡)은 백제 최대의 토광묘군으로 5차에 걸쳐 227기의 톡항묘가 조사되었는데. 평면상의 배치와 중복관계, 부장유물 양상 등에서 크게 3기로 구분됩니다. 토광묘가 축조되기 시작하는 1기는 세장방형 목곽묘가 축조되는 단계로 원저단경호(圓底短頸壺)와 심발형토기(深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