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한성시대 대외교류(漢城時代對外交琉) 백제가 중국과 정식으로 교류한 시기는 근초고왕27 . 28년(372 . 373년)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晋에서는 근초고왕을 '진동장군령낭랑태수(鎭東將軍領樂浪太守)로 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전 3세기말에 이미 마한의 일원으로 중곡과 교류를 하고 있어 시기는 더 소급될 수 있습니다. 실지로 백제영역에..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0.30
백제 함평 신덕고분 유물(咸平 新德古墳遺物) 咸平 新德古墳遺蹟은 국립광주박물관에서 분구 조사 중 도굴갱이 확인되어 긴급수습 조사가 이루어졌는데 분구의 전체 길이는 51m이며 원부 지름 30m, 높이 5m, 방부 너비 25m, 높이 5m의 前方後圓墳입니다. 매장 주체부는 해남 월송리 조산고분과 같이 영산강 유역의 이른 시기로 보이는 횡혈식 석실로, ..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0.29
백제 영산강유역의 대왜교류견해 (榮山江流域 對倭交流見解)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은 분구의 앞부분이 方형이고 뒷부분이 원형인 일본 고분시대의 전형적인 묘제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그런데 영산강유역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무덤이 다수 확인되고 있으며, 그 중영암 자라봉고분, 함평 신덕고분, 광주 월계동 1 . 2호분, 광주 명화동 고분 등 5기가 발굴..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0.28
백제 영산강유역 유물(榮山江流域遺物) 검릉형행엽(劍菱形杏葉) 백제 영산강유역/ 해남 월송리 조산고분/높이26.3cm /국립광주박물관 동령(銅鈴) 백제 영산강유역/ 해남 월송리 조산고분/지름3.1cm /국립광주박물관 검릉형행엽(劍菱形杏葉) 백제 / 높이19.3cm /일본 동경박물관 검릉형행엽(劍菱形杏葉) 백제 / 높이cm /일본 동경박물관 재갈 (銜) 백..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0.28
백제 영산강유역 나주 복암리3호분 유물(羅州 伏岩里3號墳遺物) 羅州 伏岩里3號墳은 저변 36m×43m, 높이 6m의 方大形 墳丘墓로 분구속에 옹관묘, 수혈식석곽, 횡구식석실 등 영산강유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묘제가 망라되어 있으며 총 41기의 매장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96석실의 경우에는 석실 안에 4기으 옹관이 매납되는 등 옹관과 석실이 혼합..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0.28
백제 영산강 유역 유적 2 (榮山江流域遺蹟)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전개' 영산강유역에서 석실분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나주 복암리3호분 옹관석실의 예로 보아 5세기 후반부터로 생각되며, 옹관고분과 일정기간 공존한 후 이를 대체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약 160여개소에서 50여기의 석실분이 알려져 있는데, 전남지역 전역에 고루 분포하..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0.28
백제 영산강 유역 유적 1 (榮山江 流域 遺蹟) '대형 분구묘의 출현과 옹관묘' 영산강 유역에서는 3세기 후반~4세기초가 되면 그때까지 전통적인 묘제인 토광묘와 옹관묘가 성토에 의해 대형 분구묘로 변화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분구묘가 거대해지는 것은 대형옹관묘 단계부터입니다. 이러한 대형분구묘는 분구의 정형화와 거대화, 특정지역에의 집중 등 이전과 다른 뚜렷한 특징을 보여주는데, 특히 다른 지역과 달리 매장주체부에 대형의 전용옹관을 제작 사용하고 있는 점이 주목됩니다. 분구형태는 원형 . 방형 . 장방형 . 전방후원형 . 사다리꼴 등 다양하나 점차 원형과 사다리꼴로 정형화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점토와 황토를 적절한 두께로 쌓아 무덤을 성토하며 매장시설은 성토된 분구 상층부에 설치됩니다. 하나의 분구 속에 몇기의 옹관을 매장한 多葬墓가 보편적이며 그 주..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