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사비도읍기 성립과 도성((泗沘都邑期成立.都城) 475년 웅진으로 옮겨온 백제 왕실은 동성왕(479-501) . 무령왕(501-523)대의 내치를 통해 대외적으로도 "다시 강국이 되었다(更爲强國)"고 인식될 만큼 안정을 되찾게 됩니다. 이러한 사회적 안정 위에서 즉위한 성왕(聖王 : 523-554)은 즉위후 16년인 538년에 사비천도를 단행합니다. 사비도성은 천도 이전에 이..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1.03
백제 국가제사유적 (祭祀遺蹟) 제사는 전통적인 사회 풍토에서 배양된 신앙이나 神觀念을 표출하는 의례적 행위로서, 이를 통해 동질적 세계관을 형성시킴으로서 사회 통합의 이데올로기로 작용하였습니다. 거대한 제단을 갖춘 창원 덕천리 지석묘나 사천 이금동 신전유구, 그리고 삼한시대의 각종 제천의례 등에서 알 수 있듯이 ..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1.02
백제 웅진도읍기 토기(熊津都邑期瓦塼) 한성도읍기 말기인 5세기대의 토기로는 高杯와 蓋杯, 三足盤과 三足杯, 球形壺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 가운데 삼족반은 5세기대의 서울지역에서만 한정 분포하며 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며, 삼족배는 몽촌토성 85-2호유구(祭祀遺具), 87-1호 주거지 출토품이 전형입니다. 뚜껑받이 턱이 현저한 것..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1.02
백제 웅진도읍기 와전(熊津都邑期瓦塼) 백제의 瓦塼은 백제 한성시대부터 조금씩 제작되었으나 소수에 불과합니다. 웅진으로 천도한 후 백제의 와전은 새로운 양상을 띠면서 크게 변화하는데, 백제초기에 제작된 圓文이나 菱形文이 새겨진 수막새의 전통은 사라지고 중국 南朝의 영향을 받아 새롭게 제작된 와전형이 주류를 차지하게 됩니..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1.02
백제 웅진도읍기 왕궁과 왕묘(熊津都邑期王宮.王墓) 웅진은 고마성(固麻城 : 梁書 百濟傳), 구마나리(久摩那利 : 日本書紀 雄略紀), 웅진성(熊津城 : 三國史記 聖王條) 등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현재의 공주시를 말합니다. 웅진성은 금강을 접해있고, 무령왕릉 지석에서 무령왕릉이 도성의 서남쪽에 위치하는 것 "매신지위묘(買申地爲墓)"으로 표현되어 있..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1.01
백제 웅진도읍기 무령왕릉유적.유물(武寧王陵遺蹟) 1971년 7월6일 발굴조사 된 百濟 第 25代 武寧王과 王妃가 잠든 무령왕릉은 구릉의 경사면을 굴착하고 그 안에 벽돌로 연도와 묘실, 배수로를 만들고 그 위에 직경20m의 원형 봉토를 쌓은 아치형 건축분으로 중국 南朝 梁나라의 영향을 받은 왕릉입니다. 또한 무령왕릉 출토품들은 남조문화의 영향을 짙..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0.31
백제 웅진시대 대외교류(熊津時代 對外交流) 475년 고구려 장수왕의 남진 정책으로 한성이 함락되고 개로왕이 전사하자, 그 아들 문주왕은 고구려 방비의 군사적 요충지이자 금강수계를 이용한 효율적 對중국 교류의 이점이 있는 웅진으로 천도하게 됩니다. 웅진도읍기 초기에는 남조의 宋이나 북조의 北魏 등과 교류를 시도하였으나 천도 이후 ..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