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익산 입점리고분유물 (益山 笠店里古墳) 전라북도 익산군 웅포면 입점리의 새터마을 뒷산 능선(표고100 m) 에 조영된 백제시대의 고분군입니다. 이 무덤은 1986년 2월 우연히 발견되어 금동관식(金銅冠飾) 등 중요유물이 수습되었고, 그 해에 두 차례에 걸쳐 문화재연구소에 의해 발굴조사됨으로써 무덤의 자세한 내용이 밝혀지게 되었습니다. ..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1.12
백제 불교 . 불상 (佛敎 . 佛像造刻) 불교(佛敎) 지금으로부터 약 2,500년 전 인도에서 출생하여 성불한 석가모니상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佛, 菩薩, 天 등 불교의 예배 대상 전체를 이릅니다. 석가모니가 열반에 든 후 500여 년 간은 석가모니의 표현 대신 불탑, 수레바퀴(法輪), 연꽃, 보리수, 佛足 등과 같은 불교의 상징물로써 부처..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1.10
백제 화장묘 (火葬墓) 火葬墓는 불교식 葬法에 의해 주검을 화장한 뒤 남은 유체를 그릇에 담아 묻는 것을 말합니다. 佛敎의 전례와 함께 삼국시대 墓葬文化로 수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백제 화장묘는 부여지방의 도성부근에서 몇 예가 알려져 있는데, 삼국시대 고분이 도성이나 산성 외부에 조성되는 것과는 ..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1.10
백제 시유토기(施釉土器) 백제 사비도읍기에 접어들면 백제토기에 있어서 일대 혁신이 일어납니다. 이것은 한성도읍기 이후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수입된 중국청자 또는 중국 鉛釉陶器의 영향으로 비로소 백제 특유의 施釉土器가 출현하게 됩니다. 한반도에서 시유토기는 적어도 4~5세기경에 고구려에서 제작되기 시작하였지..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1.10
백제 사비도읍기 토기 ( 泗沘都邑期 土器 ) 사비도읍기의 토기는 시간적으로 부여를 중심으로 한 사비시기에 사용된 토기를 말하며 한성 . 웅진시기 토기를 더욱 발전시키고 새로이 중국에서 들어오는 토기제작기술을 가미시켜 토기를 규격화 하였으며, 특히 실용성이 두드러집니다. 한편으로 소위 능산리형 석실의 확산으로 특정지워지는 지..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1.06
백제 사비도읍기 연산지방유적 ( 泗沘都邑期 連山地方遺蹟 ) 連山地方유적은 표정리(表井里)와 모촌리(茅村里)를 중심으로 백제시대 고분군이 위치하고 있으며, 무덤으로는 돌넛 . 널무덤 . 돌방무덤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이 지방의 무덤들은 일정한시기 차이가 있어 백제무덤의 변천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입니다. 이 곳에서는 껴묻거리로 논공구 . 무기류 ..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1.04
백제 사비도읍기 부여 하황리고분군유적 (泗沘都邑期扶餘下黃里遺蹟 ) 이 유적에서는 銀製冠飾 . 靑銅鏡 . 琉璃球이 달린 은제장신구 등이 함께 발견되었으며, 유구 성격은 자세히 알 수 없지만 돌방무덤으로 여겨집니다. 은제관꾸미개는 얊은 은판을 오려내어 인동당초 모양의 꽃가지와 꽃봉오리 모양을 2단대칭으로 접은 형태입니다. 삼국사기 등의 역사서 기록에는 백..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9.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