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금속.토기(金屬.土器) 60

은제도금타출신선문향합 (銀製鍍金打出神仙文香盒)

합의 뚜껑 양쪽에 회화적인 圖像을 표현한고려시대의 향합의 귀중한 예입니다. 몸체의 뚜껑 부위에는 한쪽에서높게 솟아난 나무 아래에 동자2인이 그림을 들고 있으며 그 옆에는 바위 위에 앉아 부채를 들고 그림을 감상하는 신선처럼 보이는 노인의 모습을 고부조 타출하였습니다. 우..

은제타출용조문장도집 (銀製打出龍鳥文長刀.革+肖)

두 점 모두 상.하단이 좁고 배부분이 불룩하며 칼집 입구 부분의 한쪽을 길게 튼 전형적인 모습의 고려시대 장도집으로서 윗 마디의 측면에는끈을 꿰기 위한 작은 고리에 화형고리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모두 은제이지만 일부에는 도금을 입힌 흔적을 볼 수 있고 한점의 상부에는 장고를..

은제도금타출화조문팔찌(銀製鍍金打出花鳥文脘釧)

은제로 된 이 팔찌는 외형 부분을 내부면에서 바깥쪽으로 눌러 높게 돌출시킨 타출기법을 사용하여 정교하게 시문한 뒤 전체에 도금을 한 고려 금속공예의 화려하고도 귀족적인 면모를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팔찌의 바깥면을 돌아가며 능화형으로 된 6개의 구획을 주문양으로 배치한..

은제도금타출연당초문표형병(銀製鍍金打出蓮唐草文瓢形甁)

표주박 모양의 은제에 도금한 병으로 구연부위에는 연봉 형태의 뚜껑을 만들어 끼우도록 구성되었으며 全面에 높게 돌출된 타출기법으로 섬세한 문양을 빠짐없이 시문하였습니다. 상부 몸체의 윗부분에는 연당초문을 연속으로 두르고 그 여백면에 포도송이처럼 달린 꽃무늬와 魚子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