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금속.토기(金屬.土器) 60

관음보살 무늬 경상(靑銅 觀音菩薩文 鏡像)

거울의 반사면에 불교의 존상(尊像)들을 새겨 넣은 것을 경상(鏡像)이라고 하는데, 제작된 배경은 밀교 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경상에는 매우 가는 점선으로 관음보살의 모습이 새겨져 있습니다. 그 모습이 잘 보이지 않다가 빛의 방향에 따라서 상(像)이 나타나게 되는..

이성계 발원 사리구(李成桂發願舍利具)

朝鮮王朝 開國 直前 當代에 追仰받던 李成桂를 中心으로 한 僧 . 俗人 萬餘人의 發願을 담은 舍利具로서 1932년 6월에 金剛山 月出峰의 石函內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사리외함으로 사용된 白磁大鉢 4個와 銀製鍍金塔形舍利器, 이 사리기를 안치한 은제8각원당형감(銀製8角圓堂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