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금속.토기(金屬.土器) 60

청동팔괘문방형경(靑銅八卦文方形鏡)

고려시대의 팔괘문경은 크게 방형과 원형의 두 종류가 있으며 방형경의 경우 경 테두리를 약간의 능형으로 처리하고 경형과 중앙 구획 사이에 별도의 구획을 두어 서수(瑞獸)나 문자, 당초문을 시문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이 거울은 외연을 정방형으로 만들었고 경연은 매우 넓..

청동삼존.보탑문 방형경상(靑銅寶塔文方形鏡像)

전면에는 아미타 삼존상을 새기고 반대쪽에 9층의 보탑을 새겼고 경면의 상단 중앙부에 작은 구멍이 하나 뚫려 있어 걸거나 부착하시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앞의 삼존상은 중앙의 연화대좌에 앉아 아미타구품인(阿彌打九品印) 가운데 중품 하생인(中品 下生印)을 한 본존을 커다랗게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