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外國)/알타이(Altai) 문명

2 . 『신석기시대(간석기.摩製石器)』

鄕香 2011. 8. 30. 14:29

 

신석기시대에 해당하는 가장 확실한 자료는 매장지의 발굴을 통해서 얻어졌습니다. 무덤은 동굴과 지하 매장의 형태로 발견되며, 가장 유명한 무덤은 카민나야(Kaminnaya)와 니지네팃케스카야(Nizhnetytkeskaya)동굴에서 발견된 것입니다. 지하식 무덤 중에서 신석기시대의 독특한 자료는 알타이산맥의 신록에 있는 이트쿨(Itkul)호수와 카툰(Katun)강과 이샤(Isha)강의 합류지점에 위치한 산중턱(岬)에 있는 무덤의 발굴에서 얻어졌습니다.

 

<사진:우스트-칸 동굴유적>

동굴유적 앞에 넓은 평지가 펼쳐져 있고, 강물이 흘러 사람이 거주하기에 유리한 장소입니다.

 

이러한 모든 매장 유적은 기원전 4,000년기말에서 3,000년기초의 시기에 해당됩니다. 이 무덤들은 매장품이풍부한 것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서 카민나야 동굴에서는 마못(다람쥐과의 작은 동물)의 송곳니로 된 장식, 진주조개 껍질과 뼈로 만들어진 팔찌, 옷과 모자에 부착되는 양식화된 골제 물고기 모양의 장식품 등이 2,000여점 이상 발견되었습니다.

 

<옷장식>

 신석기시대(8천년전) / 길이 (左下)5.1cm /알타이 이트쿨 호수 유적 발굴.

 

옷에 달린 수많은 장식품들은 큰사슴과 야생곰의 송곳니로 만들었고 팔찌는 이트쿨 호수에 있는 신석기무덤에서 발견된 진주조개 껍질과 뼈로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무덤을 남긴 부족들은 수렵민과 어로민이었습니다. 양면으로 재가공된 창끝과 화살촉, 자루를 부착하기 위한 구멍이 뚫린 마제 돌도끼, 뼈낚시와 조합식 낚시를 만들기 위한석제 추돌도 이곳에서 발견되어습니다. 이런 형식의 낚시들은 특히 시스-바이칼(Cis-Baikal)지역에 폭넓게 확산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어로가 당시에 중요한 역활을 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당시의 어로민들이 통나무 배를 이용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돌도끼와 여타의 석기들을 통해 이를 추정할 수 있겠습니다. 작은 다리미로 표현되는 특별한 형식의 유물들은 어떠한 기능을 가지고 있었는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몇몇 고고학자들은 이 유물을 아메리카 인디언들에게서 보이는 창 가중기로 생각했으며, 또한 화살대를 다듬는 것이라는 다른 의견도 있습니다.

 

<목걸이>

신석기시대(8천~5천년전)/길이(右上)12.0cm /알타이 우스트-이샤 출토.

<목걸이장식 . 다리미형 석제품>

신석기시대(8천~5천년전)/길이(右)11.0cm /알타이 우스트-이샤 출토.

<조합식낚시>

신석기시대(8천~5천년전)/길이(右)6.5cm /알타이 우스트-이샤 출토.

<돌창>

신석기시대(8천~5천년전)/길이(右)30.5cm /알타이 우스트-이샤 출토.

 

이트쿨(Itkul) 호수의 무덤 중의 하나에서는 석제 곤봉이 발견되었는데, 이 곤봉의 끝부분에는 곰의 머리가 묘사되어 있습니다. 시베리아 후기 구석기시대에 조각상을 포함하여 여러 곰을 묘사한 것이 종종 보이는 것은 주목해야만 합니다. 이것에서는 후대 시베리아의 많은 부족들과 사람들에게 확산된 곰 숭배사상의 기원을 엿볼 수 있습니다.

 

<곰머리조각 석봉>

신석기시대말(8천년전) / 길이 38.5cm / 알타이 이트쿨 호수 .

 

토기는 무덤에서 발견되는데 바닥이 뾰족하거나 둥글고 토기의 몸통에는 빗살무늬가 시문되어 있습니다. 죽은 자는 신전장(伸展葬)으로 매장되었습니다. 그들은 기원적으로 유럽인종과 몽골인종사이의 중간적인 인종형태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