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타이의 청동기시대는 남부 시베리아 전지역과 마찬가지로 초기, 발전기, 후기로 구분됩니다.
실질적으로 청동기시대 초기에는 이 지역 전체에 아파나시에보(Afanasievo)문화 단계의 부족들이 퍼져 있었습니다.
아파나시에보문화는 중앙아시아에 그 기원을 두고 있습니다. 미누신스크(Minusinsk)분지와 투바(Tuva)공화국의 변경에 있는 여러 층으로 된 투라-다쉬(Toora-dash)유적이 그것을 증명합니다. 여기에서는 아파나시에보문화층으로 연결되는 신석기시대층들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문화의 인종들은 유럽인종이었습니다. 아파나시에보문화는 유물의 일정한 조합과 장례의식이 특징적입니다. 시신은 지하에 매장되었으며, 무덤에는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앙와굴장(仰臥屈葬)으로 묻혀 있었습니다. 무덤상부는 적석시설을 하였고, 때로는 작은 울타리(護石)를 주위에 돌렸습니다. 이 문화의 유물은 첨저(尖底), 평저(平底), 원저(圓底)의 토기류로 구성되었으며, 토제향로가 일반적입니다. 석제.골제 유물은 다소 고식이며 그 생김새가 신석기시대의 유물을 닮고 있습니다. 청동도구는 원시적인칼과 소형유물로 대표됩니다. 주민들은 주로 목축, 수렵, 채집에 종사하였으며, 시간적으로는 기원전 4,000년기 말에서 기원전 2,000년기 초까지 해당합니다.
이 문화의 유적들은 몽골의 서부지역과 중국의 서북지역에서도 확인되어 아파나시에보문화가 이들 지역에도 확산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돌창 . 돌살촉 . 돌날 . 청동자귀 . 청동칼>
청동기시대 초기 / 아파나시에보 문화 (기원전 3,000-2,000년) / 청동칼 길이15.0cm / 데니소바 동굴 출토.
<뼈단추 · 뼈살촉 · 자귀 >
청동기시대 초기 / 아파나시에보 문화 (기원전 3,000-2,000년) / 화살촉 길이5.7cm / 데니소바 동굴 출토.
알타이의 북부 구릉지대와 쿠즈네츠크-알라토우(Kuznetsk-Alatau)지역에는 삼림-스탭(forest-steppe)지역의 볼쉐미스(Bolshemys)문화가 침투한 흔적이 있습니다.
이 문화 석기공작에는 아파나시에보문화와 마찬가지로 신석기시대적인 요소가 있습니다. 청동유물은 드물게 보이며, 그것은 보다 古式입니다. 이 문화에서는 기벽이 얇고 尖底이며, 빗살무늬가 희미하게 장식된 독창적인 토기가 특징적입니다. 최근 이 문화에 속한 몇몇 주거지가 조사되었는데, 규모가 크며 반수혈식이었습니다. 독립된 무덤들로부터 볼쉐미스집단이 몽골인종의 유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수렵과 어로를 위한 도구가 풍부한 것으로 보아 이들의 생업경제가 이에 기반을 두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볼쉐미스문화와 아파나시에보문화의 지속적인 접촉을 통해 기원전 2,000년에서 기원전1,700년 사이 산지알타이지역에 카라콜(Karakol)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사진 :<청동기시대초기(아파나시에보문화)의 무덤>알타이 우코크(Ukok) 지방
이러한 문화복합의 변화에 필수적인 것은 청동주물의 발전, 도구나 무기의 질적 개선과 馬具의 출현인데, 마구의 출현으로 마차운송이 가능하게 됩니다. 戰車와 우수한 신무기를 개발한 자들은 주변지역민에 대해 군사적 우위를 얻게 되었습니다.
이 카라콜문화는 유럽인종의 피가 섞인 몽골인종이 주인공으로 시신을 굴장의 형태로 석관에 안치한전형적인 장례의식에 의해 식별됩니다. 카라콜문화의 독특성은 평저토기와 함께 석관에 그려진 다양한 색상의 그림의 존재에 의해서 인지됩니다. 짐승얼굴을 한 사람형상은 복잡한 모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현실적이거나 신화적 인물들이나 이야기를 물감을 찍거나석관을 곱게 쪼아 표현하였습니다.
<책색그림이 그려진 돌널무덤의 벽석> 청동기문화(카라콜문화) / 크기 97.5×55.7cm /알타이 카라콜 마을
<그림이 그려진 돌널무덤의 벽석> 청동기문화(카라콜문화) / 크기 56.7×65.7cm /알타이 카라콜 마을
<그림이 그려진 돌널무덤의 벽석> 청동기문화(카라콜문화) / 크기 48.5×65.7cm /알타이 카라콜 마을
카라콜인의 조형미술 또한 두드러진 것으로 곰머리모양을 한 세련된 석제허리띠가 이를 입증해 줍니다. 동물모양의 꼭지가 붙은 석제인장과 함께 몽골과 중국 서북지방에서 세이미노-투르비니안(Seymino-Turbinian)형태(일반적으로 카라콜인의 양식)의 전형적인 청동제품의 발견은 의심할 바 없이 아시아지역에 카라콜문화가 확산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이 시기의 평지알타이에는 크로보프(krobov)문화와 옐루닌(Yelunin)문화가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옐루닌문화는 유물상으로 보아 카라콜문화와 밀접한 유사성이 보이는데, 세이미노-투르비니안 기법과 동일한 양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본질적인 차이는 토기에서 보입니다. 옐루닌토기는 평저의 항아리이며,빗살무늬가 장식되어 있습니다. 옐루닌인의 경제활동은 수렵과 목축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가축화된 것들 가운데에서 말은 중요한 동물이었습니다.
산지알타이지역의 청동기시대 발전기는 다양한 문화가 모자이크되어 있습니다. 바로 데니소바(Denisova)동굴의 10층과 카툰(Katun)강 중류에서는 삼림-스탭문화복합체인 사무쇼-세이미니안(Samuso-Seyminian)문화 전통을 가진 층, 특히옐루닌문화의 그것과 비슷한 문화복합체가 드러났습니다. 삼림-스탭지역의 종족이 청동기시대 발전기에 알타이 지역에 적극적으로 침투한 것은 아주 명백합니다. 산림-스탭거주자가 산맥 안쪽으로 이주를 강행한 것은 서쪽 안드로노보부족의 강력한 영향에 의해서입니다. 그때 안드로노보 부족은 서부 시베리아의 삼림-스탭지역을 점유하게 되었고, 이에 앞서 강력한 문화를 형성하였던 크로토프, 사무쇼(Samuso), 옐루닌 등의 다른 부족은 여기에 동화되거나 거주지역을 옮겨야 했습니다. 보다 동쪽으로 이동한 안드로노보인은 쿠즈네츠크-알라토우(Kuznetsk-Alatau)와 미누신스크 저지대의 북부 그들의 동쪽 변두리에 형성된 세계를 점유하였습니다.
알타이의 안드로노보(Andronovo)문화는 토장이나 火葬의 의례를 거쳐 만들어진 봉토무덤으로 특징지어집니다. 주거지는 큰 규모의 수혈식이 대표적입니다. 초기 토기는 화려한 기하학적 양식인 雷紋과 삼각형의 화문으로 장식되었습니다. 또한 청동 관자놀이고리, 끝부분이 나선형으로 된 팔찌, 소켓있는 귀걸이는 안드로노보문화에서 매우 전형적인 것입니다. 이 문화의 담당자들은 유럽인종이지만 아파나시에보 종족과는 다릅니다. 안드로노보문화의 후손들이 고대 아리안(Aryan)인이었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아리안인과 인도-아리안족은 기원전 2,000년기 초에 동유럽, 카자흐스탄 및 동트란스-우랄(東Trans-Ural)의 스탭지역에 고립되어 있던 인도-유럽어족의 공동체였는데 그들이 스루브나야(Srubnaya) 및 안드로노보문화의 담당자였다는 것이 현대과학에 의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기원전 2,000년기 후반기는 이종족들이 최대로 확대된 시기였고, 일반적으로 스스로를 아리아(Aryia)족이라고 칭하였습니다. 그들의 언어는 기원전 12세기에서 10세기에 걸쳐 형성된 인도-이란인의 신성한 경전에 쓰인 베다어의 파생조어(派生祖語)였는데, 이것은 조로아스터교의 성전에 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안드로노보족은 목축을 하는 종족으로 말은 물론 소나 소형가축도 길렀습니다.
청동기시대 발전기에 있어서 위에서 열거된 문화가 형성된 연대적 범위는 다양합니다. 만약 카라쿨, 옐루닌 및 크로토프 문화의 시작이 기원전 2,000년기의 1/3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면, 안드로보인들이 서시베리아로 돌아왔던 기원전 13세기 이후에는 몇몇 문화의 담당자들은 그들의 거주지역을 옮기거나 동화되었습니다. 안드로노보인들이 침투하지 못했던 지역과 산지알타이지역은 원주민들이 청동기시대 후기까지 존속하였던 장소였습니다. 그것은 안드로노보인 그 자신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따라서 남시베리아 서부지역의 청동기시대 발전기 문화들에 대한 하한 연대는 기원전 11세기로 한정되어야 합니다.
알타이 청동기시대 후기문화인 이르멘(Irmen)문화는 그 남쪽 한계를 알타이지방으로 확대하였습니다. 이는 그 문화가 강력한 형성기에 있었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르멘문화는 西로는이르티시강으로부터 東으로는 쿠츠네츠크 저지대에 이르는 광대한 공간을 점유하였습니다. 이 문화의 담당자들은 산지지역으로 침투해 들어가기도 하였지만 주로 삼림-초원 지대에 거주하였습니다. 알타이지역 역시 이들에게 잘 알려져 있었으며, 최근 데니소바동굴과 마이마(Maima)주거지에서 발견된 것들이 이를 증명합니다.
이르멘문화는 시신을 지표상에 안치한 봉토분으로 특징지어집니다. 시신은 굴장의 형태로 무덤의 오른쪽에 배치되었고 머리는 남쪽을 향하고 있었습니다. 인종학적으로 이르멘인은 몽골인종이 혼혈된 유럽인종이었습니다. 그들의 청동유물에는 칼, 손톱모양을 한 장신구, 다양한 장식의 팔찌, 반지, 뾰족한 형태의 도구가 있습니다. 토기는 평저와 원저가 있으며, 삼각형과 육면체모양의 기하학적 문양으로 장식되었습니다. 이르멘인들은 큰 주거지에서 살았으며 목축과 농경에 종사하였습니다. 그들의 금속제 물건들은 남부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의 청동기시대의 또 다른 문화들의 후속체인 소위 카라수크(Karasuk)양식(이 이름은 미누신스크 저지대에서 청동기시대 후기문화의 명칭으로 주어 졌습니다.)의 것들입니다. 그것은 산지알타이, 서몽골, 중국 서북지역에서 고유한 카라수크(Karasuk)양식 복합체가 항상 발견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구성요소를 갖춘 사람들이 금속유물에 있어서 동일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최근 카툰강 중류에서 발견된 청동기시대 후기에 해당하는 주거지의 독특한 유물복합에서 입증됩니다. 이것은 청동기시대에서도 특별한 문화에 속하는 것입니다. 이 시기 문화의 편년은 기원전 10-8세기의 범위안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알타이의 청동기시대는 특히 산악지역에 있어서는 아직도 많은 수수께끼로 가득차 있으며, 어떤 새롭고 중요한 발견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뼈송곳.돌도끼.동칼.긁개>
청동기시대 초기(아파나시에보 문화 기원전3,000-2,000년) / 길이(右)19.2cm /산지(山地) 알타이 페르로킨-로그 고분
<토기>
청동기시대 초기(아파나시에보 문화 기원전3,000-2,000년) / 높이16.6cm /산지(山地) 알타이 페르로킨-로그 고분.
<절구.공이>
청동기시대 초기(아파나시에보 문화 기원전3,000-2,000년) / 길이(공이)12.0cm / 산지(山地) 알타이 카라-테네쉬 유적 출토.
<곰머리 조각상>
청동기시대 초기(아파나시에보 문화 기원전3,000-2,000년) / 길이7.6cm / 산지(山地)알타이 쿠이움 고분 출토.
<다리미형 석제품>
청동기시대 초기(아파나시에보 문화 기원전3,000-2,000년) / 길이19.0cm / 평지(平地)알타이 크루치하 유적 출토.
<토기>
청동기시대 초기(아파나시에보 문화 기원전3,000-2,000년) / 높이22.0cm / 산지(山地)알타이 카라콜1 유적 출토.
<토기>
청동기시대 초기(아파나시에보 문화 기원전3,000-2,000년) / 높이(左)26.0cm / 산지(山地)알타이 카라콜1 유적 출토.
<토기>
청동기시대 초기(아파나시에보 문화 기원전3,000-2,000년) / 높이(左)17.0cm / 산지(山地)알타이 쿠이움 고분 출토.
<토기>
청동기시대 초기(아파나시에보 문화 기원전3,000-2,000년) / 높이(左)15.0cm / 산지(山地)알타이 쿠이움 고분 출토.
<돌거푸집>
청동기시대 중기(기원전2,000-1,500년) / 길이6.7cm / 산지(山地)알타이 데니소바 동굴 출토.
<뼈살촉.바늘통> 청동기시대 중기.후기(기원전2,000-1,000년) / 길이(바늘통)6.6cm / 산지(山地) 알타이 데니소바 동굴 출토. <돌살촉> 청동기시대 중기(기원전2,000-1,500년) / 길이(左)4.3cm / 산지 알타이 데니소바 동굴 출토. <청동손칼> 청동기시대 후기(이르멘 문화 기원전900년) / 길이16.5cm / 산지(山地) 알타이 데니소바 동굴 출토. <청동도끼.창> 청동기시대 . 에루니노 문화(기원전1,500년) / 길이(창)21.0cm / 평지(平地) 알타이 각지 출토. <청동손칼.숫돌> 청동기시대 . 에루니노 문화(기원전1,700-1,200년) / 길이(도자)28.0cm / 평지(平地) 알타이 에루닌스크 고분 출토. <돌살촉> 청동기시대 . 에루니노 문화(기원전1,700-1,200년) / 길이(도자)28.0cm / 평지(平地) 알타이 에루닌스크 고분 출토.
<뼈살촉.작살> 청동기시대 . 에루니노 문화(기원전1,700-1,200년) / 길이(右)12.0cm / 평지(平地) 알타이 출토. <곰머리조각 장식품> 청동기시대 . 에루니노 문화(기원전1,500년) / 길이15.0cm / 평지(平地) 알타이 출토. <목걸이 장식> 청동기시대 . 에루니노 문화(기원전1,700-1,200년) / 길이6.0cm / 평지(平地) 알타이 코로비아-프리스탄1 유적 출토.
<청동도자>
청동기시대 . 안드로노보 문화(기원전1,500-1,000년) / 길이23.0cm / 평지(平地) 알타이 지방 출토.
<청동도끼>
청동기시대 . 안드로노보 문화(기원전1,500-1,000년) / 길이17.0cm / 평지(平地) 알타이 소수노프카 유적 출토.
<석제 용범>
청동기시대 . 안드로노보 문화(기원전1,500-1,000년) / 길이 5.0cm / 평지(平地) 알타이 쿠이린스크 지방 출토.
<청동자귀>
청동기시대 . 안드로노보 문화(기원전1,500-1,000년) / 길이11.0cm / 평지(平地) 알타이 피르소보 18호 고분 출토.
<토기>
청동기시대 후기-이르멘 문화(기원전900-600년) / 높이14.9cm / 평지(平地) 알타이 출토.
'외국(外國) > 알타이(Altai) 문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타이 청동기시대 문화와 민족구성 (0) | 2011.09.08 |
---|---|
알타이 암각화(청동기시대) (0) | 2011.09.07 |
카만나야 동굴 유적의 신석기 무덤 (0) | 2011.09.04 |
2 . 『신석기시대(간석기.摩製石器)』 (0) | 2011.08.30 |
투메친(Tumechin)유적. (0) | 2011.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