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기 주둥이口脣 바로 아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열문을 횡橫으로 배치한 심발형토기深鉢形土器입니다.
구멍은 안쪽에서 뚫은 것과 바깥쪽에서 뚫은 것이 있는데 모두가 완전히 구멍을 내지 않고 반쯤만 관통하여
반대편이 불룩 튀어 나오게 됩니다. 孔列은 1줄이 원칙이나 咸北의 雄基貝塚에서는 2줄짜리도 출토되었습니다.
공열문토기는 대동강유역의 팽이형토기문화권을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됩니다.
함북지방에서 櫛文土器時代 末期부터 출현하여 이후 동해안과 한강을 따라 중부와 남부지방으로 전파되어
무문토기시대 전기와 중기의 대표적토기로 정착됩니다.
(한강유역에서도 신석기말기의 內坪遺蹟에서 공열문토기가 櫛文.突帶文土器와 함께 출토된 예가 있습니다)
器形은 모두 深鉢形으로 북부에서는 공열문장식이 꼭지손잡이나 이중구연 또는口脣刻目과 결합되기도
하며 중부와 남부에서는 구순각목과 팽이형토기에서 보이는 단사선문單斜線文이 결합된 예도 보입니다.
(구순각목의 공열문토기는 역삼동류형으로 불리우며, 孔列.口脣刻目.二重口緣이 결합된토기는
흔암리유형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
<공열문토기.孔列文土器>
(孔列文土器)
襄陽 浦月里 住居址 30.3cm (江陵大學校)
(孔列文土器)
溟州 坊內里住居址 51.7cm (江陵大學校)
(孔列文土器)
束草 朝陽洞住居址 26.5cm (江陵大學校)
(孔列文土器)
河南 渼沙洞住居址 19.8cm (高麗大學校)
(孔列文土器)
水原 西屯洞住居址 30.9 cm (崇實大學校)
(孔列文土器)
晋陽 大坪里 玉房1號住居址 28.2 cm (國立晋州博物館)
<口脣刻目土器>
구순부에 돌아가면서 눈금(刻目)을 새긴토기로 器形은 深鉢이 대부분이지만 壺도 있습니다.
각목은 대체로 같은 방향으로 시문하여 연속 X자나 V자 모양을 이루는 것도 있습니다.
孔列文土器와 함께 동북지방에서 중부이남으로 전래되었습니다.
중부이남에서는 공열문과 결합된 경우가 많으나 제주도 上摹里유적에서는 공열문과 單斜線文이
함께 시문된 토기도 출토되었습니다. 한편 남해안에서는 신석기 전기의 隆起文과 櫛文토기에서
口脣에 刻目이 행해진 형식이 보이고 있으나 청동기시대 口脣刻目土器와 직접적 관련은 없습니다.
(口脣刻目土器)
瑞山 休岩里 A號住居址 19.4 cm (國立中央博物館)
(孔列文土器)
驪州欣岩里12號住居址 29.5cm (서울大學校)
(口脣刻目土器)
瑞山 安眠島 古南里貝塚2次3號住居址 23.8cm (漢陽大學校)
< 팽이형토기>
전형적인 팽이형토기는 底部가 작고 몸체가 부푼 팽이처럼 생긴 토기로 2-3줄의 단사선이 그어진
이중구연이 특징입니다. 청천강이남의 평남.황해도지방에 퍼져 있으며 남쪽으로는 한강 하류의
강화도 삼거리와 파주군 선유리 유적및 대전 둔산동에 출토되고 있습니다.
한강 이남에서는 팽이형토기의 요소인 단사선문과 이중구연이,
동북지방 요소인 공열문. 구순각목과 결합된 소위 흔암리형토기들이 나타나고
단사선문만 남아 있는 유형도 있습니다.
또한 팽이형토기의한강형식으로 보고 있는 가락리식토기는
전형적 팽이토기에서 보이는 좁은 굽과 甕과 壺의 器形에서 벗어난
이중구연의 深鉢形으로 이중구연 하단에 손톱자국 같은 것이 돌려 새겨져 있습니다.
(팽이형토기)
大田 屯山洞住居址 . 高 17.6 cm (忠南大學校)
'선사(先史) >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豆滿江流域의 無文土器(두만강유역 민무늬토기) (0) | 2007.06.22 |
---|---|
南韓의 無文土器 器種(민무늬토기 종류) (0) | 2007.06.22 |
各種 摩製石器(간석기) (0) | 2007.06.22 |
磨製石器製作砥石(간석기제작숫돌) (0) | 2007.06.22 |
<農耕文靑銅器>의 解說 (0) | 2006.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