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시대의 석기는 대부분 간석기로써 일상 생활에 폭 넓게 사용되었습니다.
신석기시대보다 발달된 제작 기법과 농경에 바탕을 둔 생활상의 변화로 종류도 다양해 졌으며
형태도 보다 정형화되었습니다.
농구로는 돌칼.낫.괭이.가래.갈돌.갈판 등이, 공구로는 돌도끼.홈자귀.대팻날.끌.숫돌 등이 있고
무기류는 검.돌살촉.창이 있으며,권위의 상징구로 생각되는 바퀴날도끼와 톱니날도끼도 있습니다.
또한 그물추.가락바퀴.바늘도 있어, 그 때 사람들의 살림살이의 이모저모를 알 수 있습니다.
이들 석기는 주로 집터와 무덤에서 출토되며, 무덤에 넣으려고 만든 것과 儀葬性이 강한 儀器도 있습니다.
이가운데 돌검.돌살촉.홈자귀.대팻날. 등은 우리나라 독자적 석기이며,
벼농사와 함께 일본에 전파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석기들은 청동기 철기 등 금속문화의 유입으로 점차 金屬製利器로 바뀌어 갔습니다.
(여러가지 모양의 반달돌칼
반달돌칼은 곡식의 이삭을 따는 도구로 평면이 타원 또는 반원이며 중앙부에 1~2의 구멍이 뚫여있어 끈을 꿰어 사용합니다.
형태는 어형(魚形).빗형(櫛形).배형(舟形) 등이 있으며 이외에 장방형과 세모돌칼(三角形石刀).이형돌칼(異形石刀)이 있습니다.
반달돌칼(半月形石刀) 左1 慶南地域 . 右1 陜川 苧浦 .左2 慶南地域 .右2 蔚山檢丹里
반달돌칼.돌낫 (半月形石刀.石鎌) 慶南地方
각종 반달돌칼 (各種石刀)
이형돌칼(異形石刀) 장수 남양리외(長水 南陽里 外)
돌칼(石刀) 진양 대평리(晋陽 大坪里)
(여러 가지 모양의 돌칼 )
(간돌검 各種石劍) 함평 구산리 외. 咸平 九山里 外 36cm
돌살촉.간돌검(石鏃 . 磨製石劍) 益山 漁良里
간돌검(磨製石劍) 各地出土
간돌검(磨製石器) 忠南地域 出土 靑銅器時代 紀元前6~3世紀
돌칼(石劍) 慶南地域 .釜山社稷洞 .慶南地域 길이20.4cm 靑銅器 中期 .22.7cm 靑銅器 中期 27.7cm靑銅器 前期
돌살촉.돌검(石鏃.石劍) 夫餘 松菊里 遺蹟
돌화살촉. 간돌검(石鏃.磨製石劍) 昌原 鎭東)
사회분화로 형성된 지배계층에서 그 들의 권위를 상징하기 위해 바퀴날도끼(環狀).톱니날도끼(多頭.星形)를 사용했습니다.
(여러가지 모양의 살촉 )
돌살촉(磨製石鏃) 충남지역 출토 청동기시대 기원전 6~3 세기
돌화살촉 (石鏃) 慶南地方 왼쪽 길이 18.2cm
<여러 가지 생활도구>
여러 가지 돌도끼(石斧 各種) 慶南地方出土.
돌낫(石鎌)夫餘 松菊里(上). 谷城 현정리(下) 25.3cm - 20cm
그물추.가락바퀴(漁罔錘.紡錘車) 동래 길천리(東來 吉川里).울산 검단리(蔚山 檢丹里)
둥근꾸미개.그물추.가락바퀴(環狀裝身具.漁網錘.紡錘車)瑞山 休岩里 遺蹟
돌보습 (石려) 진양 대평리(晋陽 大坪里).산청 강누리(山淸 江樓里)
돌괭이.돌칼.가락바퀴(有孔石斧.石刀.紡錘車) 忠南地域 出土 紀元前6~3世紀 靑銅器時代
숫돌.돌도끼.돌칼(砥石.石斧.石刀) 瑞山 休岩里 遺蹟
숫돌(砥石)保寧 校成里 遺蹟
대팻날.반달돌칼.(扁平單刃石斧.半月形石刀)瑞山 休岩里 遺蹟
갈판과 갈돌<磨砥石 .년석(石+展)石>泗川地方出土
방추차(紡錘車) 승주 대곡리(昇州 大谷里) 4.7cm
홈자귀.돌끌.돌도끼(有溝石斧.石鑿.石斧) 忠南地域 出土 紀元前6~3世紀 靑銅器時代
(홈자귀 有溝石斧)영암 장천리 27.5cm
가락바퀴.돌끌.대팻날(紡錘車.石鑿.扁平單刃石斧)夫餘 松菊里 遺蹟
돌보습.돌낫.반달돌칼.삼각돌칼 (石려 .石鎌 .石三角石刀.多角石刀)
(반달돌칼 복원 모습)
'선사(先史) >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南韓의 無文土器 器種(민무늬토기 종류) (0) | 2007.06.22 |
---|---|
孔列文土器 . 口脣刻目土器 .(공열무늬토기.구순각목토기.팽이형토기) (0) | 2007.06.22 |
磨製石器製作砥石(간석기제작숫돌) (0) | 2007.06.22 |
<農耕文靑銅器>의 解說 (0) | 2006.08.01 |
靑銅器時代. (청동기)理解 (0) | 2006.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