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속화 중 우물가(風俗畵 中 井邊) 여인들이 모여 있는 우물가에 품행이 방정하지 못한 남정네가 등장했군요. 남정네는 거리낌 없이 가슴을 드러내고 물을 들이 키고 있는 반면, 여인들은 수줍어하면서 고개를 돌리거나 다른 곳을 쳐다보고 있네요. 조선시대 남녀유별의 풍속을 보여줍니다. 김홍도 필 풍속화첩 중 우물가(..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풍속화(風俗畵) 2007.05.04
풍속화 중 빨래터(風俗畵 中 漂母) 냇가에서 빨래하는 아낙네의 모습과 바위 뒤에서 몰래 훔쳐보는 선비의 모습이 강한 해학성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옷주름과 바위 등의 간략한 필선과 담박한 채색이 돋보입니다. 김홍도 필 풍속화첩 중 빨래터(金弘道筆風俗畵帖中漂母) 朝鮮時代 / 金弘道 (1745~?) /紙本設彩 縱 39.7cm×橫26..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풍속화(風俗畵) 2007.05.04
풍속화 중 고누놀이(風俗畵 中 고누놀이) 고누는 우리의 선조들이 많이 즐기던 놀이의 하나로,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지만 아주 오래 전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놀이입니다. 고누는 오랜 세월을 거쳐 전해져 온 탓에 고니, 꼬니, 꼰질이, 고노 등으로 부르는 이름마저 다양하고, 또한 각 놀이판의 이름도 다르고 같은 놀이판이라도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풍속화(風俗畵) 2007.05.04
풍속화 중 주막(風俗畵 중 中 酒幕) 여행 중에 중년부부가 간이주막에서 요기하는 광경을 그린 것입니다. 국자로 막걸리를 떠내는 주모의 모습이나 부뚜막 위의 밥 양푼과 술사발들이 당시 주막의 풍경을 잘 전해주며, 앞쪽의 풍경에는 역원근법을 적용해 화면 속으로 들어간 듯한 현실감을 살렸습니다. 김홍도 필 풍속화..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풍속화(風俗畵) 2007.05.04
풍속화 중 나룻배(風俗畵 中 渡船) 두 척의 배 위에 여러 신분 계층의 사람들이 가득 타고 어디론가 향하고 있는 모습을 담은 장면입니다. 사람들과 가득 실은 짐 등에서 시장으로 가는 정경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무리 지어 시장에 가는 모습은 조선 후기 상업 발달의 일면을 보여줍니다. 김홍도필풍속화첩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풍속화(風俗畵) 2007.05.04
풍속화 중 시주(風俗畵 中 施主) 이 그림은 점괘로 알려져 왔으나 실제로는 시주를 청하고 있는 장면입니다. 두 명의 승려가 목탁과 타악기를 두들기며 시주를 호소하고 있으며, 돗자리 위에 부적인 듯한 물건이 펼쳐져 있고 엽전이 놓여져 있습니다. 지나가던 여인은 쓰고 있던 장옷을 머리에 얹고 주머니를 열어 엽전..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풍속화(風俗畵) 2007.05.04
풍속화 중 나들이(風俗畵 中 路上破顔) 나귀를 타고 가는 선비, 두 아이와 함께 길을 가고 있는 부부를 그린 그림인데, 부채로 얼굴을 가린 채 아이를 안고 가는 여인을 몰래 훔쳐보고 있는 선비의 시선이 재미있습니다.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두 마리 말과 인물들의 배치가 대각선을 이루어 화면이 탄탄하게 느껴집..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풍속화(風俗畵) 2007.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