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外國) 504

갈유인화용수수주(褐釉印花龍首水注)

담황갈색의 胎土에 진중하게 바른 釉의 광택이 투명감이 있고 濃厚해 茶褐色을 보입니다. 器體肩部의 花文, 몸체胴部의 세밀한 櫛文을 사용하여 표현된 波浪文, 손잡이 표면의 幾何文 등은 印花技法으로 시문하였습니다. 대롱(管狀)모양의 注口을 입에 삼킨 형국의 龍首가 표현된 注口나 把手는, 器..

녹유획화모란문봉수병(綠釉劃花牡丹文鳳首甁)

遼時代 磁器의 전형적 스타일의 甁입니다. 입은 百合 모양을 하고 그 아래 鳳首形으로 꾸몄습니다. 목은 7段의 環形으로, 胴은 長胴形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아래 몸에 비해 작고 口緣보다도 좁은 굽이 다소 높게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불안정감을 느끼게 합니다. 붉은 素地에 白化粧을 바른 그 위에 綠釉를 입혔습니다. 몸체에는 線刻으로 모란문이 묘사되어 있고, 肩에는 捻花狀의 蓮弁文이 線刻되었습니다. 胴體部의 牡丹圖는 그 솜씨로 보아 陶工이 그린 것으로 보이는데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습니다. 宋磁의 봉수병에서 느낄 수 있는 안정감은 찾아볼 수 없는 불안정한 모습의 작품입니다. 녹유획화모란문봉수병(綠釉劃花牡丹文鳳首甁) 中國 遼時代 (11-12世紀) / 高37.7cm 徑15.0cm 口徑10.0cm / 日本 五島美術館

백지록채초화문장경병(白地綠彩草花文長頸甁)

遼時代 領域의 가마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으로, 북송의 청자와 백자에 가까운 磁器質로 거친 素地로 만든 白釉陶器에 褐釉 . 黑釉로 施釉한 硬質磁器입니다. 이 병은 硬質의 粗製陶器에 속하는 전형적인 遼磁의 스타일입니다. 口緣은 盤口形이며, 긴 목에 어깨는 작게 胴體는 길게 펼쳐진 닭의 몸 같은 형태의 병입니다. 철분이 함유된 거친 태토에 白化粧을 두텁게 입힌 후 그 위에 자유분방한 線刻으로 草花文을 앞뒤에 표현하였습니다. 초화문의 부분에 입힌 녹유는 선명한 綠色이나 색체의 농담이 고루지 않아 질이 좋지 않은 녹유로 보입니다. 遼의 영역에서는 10세기후반 대에는 白釉, 綠釉, 의 陶器들이 주로 보였으며, 이런 盤口甁의 형식들은 遼代 中期인 11세기중엽 무렵의 형식입니다. 기본적으로 白釉系의 도기입니다..

백소락당화문장경호(白搔落唐花文長頸甁)

커다란 盤口甁으로, 큰 盤口에 비해 가는 頸과 긴 몸채에 좁은 굽을 지닌 불안정된 느낌을 주는 작품입니다. 素地는 철분이 다소 함유된 회갈색의 태토로써, 백화장을 全面에 베푼 후 부분적으로 문양을 搔落한 것입니다. 胴部 가운데에 커다란 花文을 중심으로 葉文을 곡선 형태로 가득 표현하였습니..

녹유백지흑소락묘문호(綠釉白地黑搔落兎文壺)

작은 항아리에 白花粧을 베풀고 전체에 鐵繪具(금속으로 만든 작고 얇은 주걱 모양의 빗치개)로 문양의 輪郭線을 새겼으며, 부분적으로 搔落하여 흑백의 조화로움으로 당초문을 배치하고 四稜花形의 구획 안 가운데에 긁어내는 기법(搔落)으로 토끼를 새겼습니다. 토끼의 몸체 본바탕은 搔落하고 눈..

황유철화초문반(赤繪 螵 文盤)

중국 福建省 泉州부근의 가마(窯)에서 생산되었던 作品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동남아시아로 流入된 貿易陶磁입니다. 모래가 다소 섞인 태토에 철분이 함유되어 황색의 색조로 유약이 누르스름해진 洗形의 작품입니다. 구연 아래 器壁에 주어진 海草모양의 문양이15個가 물결에 떠 있는 모습으로 시문되어 있고, 안쪽 바닥 테두리에 실타레형으로 돌려진 문양을 두고 그 가운데에 발이 8개 달린 낙지가 사실적으로 묘사된 모든 문양의 색조는 黃釉鐵畵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문양은 이례적인것으로 類例중 뛰어난 작품입니다. 황유철화초문반(赤繪螵文盤) 南宋時代 (12世紀) 磁竈窯 / 高9.1cm 口徑42.8cm 底徑30.4cm / 韓國 國立中央博物館

적회어연문완(赤繪魚蓮文碗)

器皿 안쪽 가운데에 한 마리 물고기와 한송이 연꽃, 그리고 수초가, 붉은 색과 녹색의 그림으로 묘사된 碗입니다. 안쪽 器壁의 문양은 당양옥가마(河南省 修武縣의 当陽옥(山+谷)窯)에서 자주 사용하는 雷文의 일종입니다. " 赤繪牡丹文碗 "의 문양에서 보듯 簡略化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붉은색감의 그림(赤繪)기법으로 만든 窯은 河北省의 磁州窯 . 河南省의 鶴壁窯, 登封窯, 禹懸扒村窯 . 山西省의 長治窯 . 山東省의 淄博窯이외에도 다수 발견되었습니다. 이러한 문양수법은 金時代에서 元時代에 걸쳐 만들어졌습니다. 적회어연문완(赤繪魚蓮文碗) 金時代 (13世紀) 磁州窯 / 口徑12.0cm / 美術工藝振興佐藤基金 (日本 重要美術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