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外國) 504

중국(中國)-당(唐) 청자 첩화 주전자(靑磁貼花注子)

장사요(長沙窯)는 당대의 악주요(岳州窯)를 계승, 발전시킨 것으로 후에 백자에 채색을 하는 유하채회(釉下彩繪) 공예에 끼친 영향이 큽니다. 이 주전자는 연질의 바탕흙을 사용한 청자입니다. 짧은 입과 목, 풍만한 복부, 작은 손잡이, 넓은 바닥을 가진 형태이며, 손잡이와 귀에 두 줄의 ..

중국(中國)오형화필백수전서(吳瀅華筆百壽篆書)

오영화필백수전서(吳瀅華筆百壽篆書) 상변에 예서로 “백수(百壽)”라는 제목을 적고, 1행(行) 15자(字) 7행(行)에 걸쳐 제각기 다른 모양으로 100자(字)의 “수(壽)” 글자를 전서로 썼고, 말미에 다시 예서로 “동은집전(東隱輯篆)”이라 관서하였다. 백문방인(白文方印) “오로지(吳老之)니”와 주문방인(朱文方印) “동은(東隱)”이 있음. 글머리 두인(頭印)은 “향(香) 산인(山人)”이다. 장식효과가 있다. 오영화필백수전서(吳瀅華筆百壽篆書) 中國 / 오형화 筆/ 紙 墨書 세로 213.1cm, 가로 54.6cm, 축 길이 60.2cm /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중국(中國)-송(宋) 배위에서 낮잠을 자다(舟上午睡圖)

미우인(米友仁, 1074-1153 또는 1086-1165)의 작품으로 전해지나 잘못인 듯하다. 미우인은 남송대(南宋代)의 서화가로 아버지인 미불(米芾, 1051-1107)과 함께 강남지방의 운무(雲霧)에 싸인 풍경을 표현한 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 그림은 화사(畵史)에 전하는 그의 화풍이나 현재 전하는 그의 그림과는 관계가 없다. 화풍상으로 보아 명대(明代) 이후 활약한 절파(浙派)의 한 화가가 그린 듯하다. 《舟上午睡圖/배에서 낮잠을 자다》 국적/시대(中國-宋代)/작가 傳 米友仁 /재질(絹本墨) / 크기203×64.3cm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중국(中國)-청(淸) 오문 장굉 선생의 화첩(吳門張宏先生畵帖)

다섯 폭의 그림과 각 그림에 대한 다섯 폭의 발문(跋文)으로 꾸며진 화첩으로 표제(表題)에 따르면 장굉(張宏, 1577-1668이후)이 그린 것이다. 장굉은 명대 명말 오파(吳派)의 화가로 장쑤성(江蘇省) 쑤저우(蘇州) 출신이며 자(字)가 군도(君度), 호(號)는 학간(鶴澗)이다. 심주(沈周, 1427-1509)의 화법을 배웠으며 산수화에 뛰어난 역량을 보여 많은 명승실경도를 남겼다. 도원동(桃源洞), 취옹정(醉翁亭), 도리원(桃李園), 동정호(洞庭湖), 전적벽(前赤壁) 등을 그린 이 화첩 역시 그가 그린 명승도첩의 하나로 보인다. 장굉이 활동하던 시대에는 명승유람의 성행에 따라 많은 명승실경도가 제작되었으며, 더욱이 심주(沈周)도 《오문십이경책(吳門十二景冊)》 등 명승을 그려 화첩으로 꾸민 작품을 남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