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12지신상 저울추(靑銅十二支像錘) 무게를 다는 저울 추로 鐵로 鑄造하여 만든 것입니다. 덮개 있는 작은 항아리 모양의 외면에 십이지신상을 돌려 돋을 새김 하였습니다. 청동12지신상 저울추(靑銅十二支像錘) 統一新羅 8-9世紀/ 경주 성동동 출토/ 높이 5.5 cm,/ 國立慶州博物館 所藏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07.28
소조 12지신 중 호랑이( 塑造12支神 中 辰) 와질로 만든 12지신상으로 경주 화곡리 古墳에서 일괄 출토되었습니다. 십이지라는 개념은 중국의 은대(殷代)에서 비롯되었으나, 이를 방위나 시간에 대응시킨 것은 대체로 한대(漢代) 중기의 일로 추정됩니다. 다시 이것을 쥐[子]·소[丑]·범[寅]·토끼[卯]·용[辰]·뱀[巳]·말[午]·양[..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07.28
천마총 천마도 장니(天馬塚 天馬圖 障泥) 이 그림은 1973년 8월23일 경주의 한 무덤에서 1500여년의 깊은 세월을 넘어 우리 눈앞에 모습을 드러낸 것입니다. 5~6세기에 만들어진 이 천마도는 자작나무 껍질에 불을 내뿜으며 하늘을 나는 백마의 기상을 사실적으로 채색 표현했습니다. 이 그림은 당시 뻗어나가는던 신라의 기상을 잘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06.30
와범 (瓦范) 기와는 양질의 점토를 재료로 와범 등 제작틀을 사용하여 성형한 다음에 가마 속에서 높은 온도로 구워냅니다. 와범은 석제.목제.陶製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목제와 도제의 와범이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이 중에 목제와범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전 기간에 걸쳐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03.19
인형문목항아리(人形臺附長頸壺) 경부(頸部)가 약간 외반(外畔)한 원저장경호에 비교적 짧은 대각이 붙어있습니다. 경부는 삼단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상하단에는 종행집선문이 돌아가고 중간에 2중원문이 돌려졌습니다. 동체부의 상부에는 종행집선문으로 사지를 벌린 사람들이 서로 연결된 도식적인 문양이 2단으로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03.19
금제수식(金製細環垂飾) 청동 고리에 금박을 입힌 가는 고리이며, 중간 장식 아래는 일체형이고, 중간식은 2개의 반구형(半球形) 사이에 둥근 모양의 작은 고리를 1열로 배치하였으며, 그 아래 돋은 띠가 있는 원추형 장식이 달려있습니다. 금제수식(金製垂飾) 한국 - 삼국시대 (5-6세기) / 길이4.8cm / 국립중앙박물.. 신라시대(新羅時代)/삼국 유물 (三國 遺物) 2009.03.19
금제이식(金製耳飾) 가는 고리에 사슬을 길게 늘이고 그 가운데에 동그란 금판을 2단으로 설치하고 원형의 금판에 사방 4곳에 구멍을 내고 둥근 영락을 금실로 매달고 가운데 이어져 내려온 금사슬 끝에 펜촉 모양의 금판을 이어 꿰고 그 끝에 곡옥을 작은 고리에 꿰어 매어 달았습니다. 금제이식(金製耳飾) .. 신라시대(新羅時代)/삼국 유물 (三國 遺物) 2009.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