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제용문팔찌(金製嵌裝釧) 세 개의 여의주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표현하고 용의 몸과 같은 문양으로 상부를 감아 돌려가며 톱니처럼 돌출 시켰으며, 팔찌의 양면과 안쪽을 이어가며 역동하는 용의 형상을 골 깊은 嵌刻技法으로 새겼습니다. 금제용문팔찌(金製龍文嵌裝釧) 韓國 - 新羅 《5~6世紀頃》 /慶州市 路西洞..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11.21
금제세환이식(金製細環耳飾) 이 귀걸이는 노는 고리 아래에는 상하로 고리를 둔 타원형 몸체 전면에 걸쳐 금알갱이를 붙여[累金技法] 거북등무늬와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瓊玉으로 눈을 박은 마름모형의 돌대로 장식하고 그 아래 고리에 球點線을 돌린 원형의 작은 것과 심엽형의 큰 달개를 꿰었습니다. 이 귀..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11.21
금제세환이식(金製細環耳飾) 이 귀걸이는 중심 고리를 얇은 도금판 두 개를 붙여 둥글게 만든 굵은 고리식 귀걸이로, 가운데 부분에 이어 붙인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노는 고리 아래에는 상하로 고리를 둔 둥근 원심을 두고 그 원구에 금알갱이[累金技法]로 점선무늬를 장식하고 상하에 서로 엇갈린 4방위에 작은 원추형의 구획을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11.21
금제세환이식(金製細環耳飾) 귀걸이는 중심 고리가 굵은 것과 가는 것이 있습니다. 노는 고리는 보통 두 개인데, 윗고리는 금판을 둥글게 만든 쇠막대 모양이며, 아래는 금실로 만든 작은 고리모양입니다. 노는 고리 아래에는 금실로 장식을 다는데, 여러 개의 작은 고리를 붙여서 공모양으로 만든 것이 널리 사용됩니다. 드림은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11.21
목가슴꾸미개(頸胸飾) 피장자의 가슴 부분의 위치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아 가슴꾸미개로 추측되는 것으로 머리 부분이 하얗고 꼬리부분이 녹색의 경옥으로된 곡옥을 중심부에 두고 金葉 모양의 작은 영락을 고리에 꿰어 붙인 中孔있는 金球를 4줄로 5개씩 꿰고 이어 가운데 구멍을 뚫은 짙은 청색의 구슬을 6개씩 4줄로 이..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11.21
신라토기 변천Ⅱ (新羅土器 變遷) 신라토기(新羅土器) 신라 토기는 그 상대적인 변천과정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의견의 접근을 보고 있으나 그 절대 연대에 대해서는 학자에 따라 약 100년 가까운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라토기 발전과정의 특징을 단계적으로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습니다. 굽항아리 .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09.09
신라토기 변천Ⅰ (新羅土器 變遷) 3 . 신라토기(新羅土器) 신라 토기는 그 상대적인 변천과정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의견의 접근을 보고 있으나 그 절대 연대에 대해서는 연구자에 따라 약 100년 가까운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라토기 발전과정의 특징을 단계적으로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습니다. 1)제1..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