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新羅時代) 179

금제세환이식(金製細環耳飾)

이 귀걸이는 중심 고리를 얇은 도금판 두 개를 붙여 둥글게 만든 굵은 고리식 귀걸이로, 가운데 부분에 이어 붙인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노는 고리 아래에는 상하로 고리를 둔 둥근 원심을 두고 그 원구에 금알갱이[累金技法]로 점선무늬를 장식하고 상하에 서로 엇갈린 4방위에 작은 원추형의 구획을 ..

금제세환이식(金製細環耳飾)

귀걸이는 중심 고리가 굵은 것과 가는 것이 있습니다. 노는 고리는 보통 두 개인데, 윗고리는 금판을 둥글게 만든 쇠막대 모양이며, 아래는 금실로 만든 작은 고리모양입니다. 노는 고리 아래에는 금실로 장식을 다는데, 여러 개의 작은 고리를 붙여서 공모양으로 만든 것이 널리 사용됩니다. 드림은 ..

신라토기 변천Ⅱ (新羅土器 變遷)

신라토기(新羅土器) 신라 토기는 그 상대적인 변천과정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의견의 접근을 보고 있으나 그 절대 연대에 대해서는 학자에 따라 약 100년 가까운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라토기 발전과정의 특징을 단계적으로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습니다. 굽항아리 . ..

신라토기 변천Ⅰ (新羅土器 變遷)

3 . 신라토기(新羅土器) 신라 토기는 그 상대적인 변천과정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의견의 접근을 보고 있으나 그 절대 연대에 대해서는 연구자에 따라 약 100년 가까운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라토기 발전과정의 특징을 단계적으로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습니다. 1)제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