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기병 (土器甁) 어깨가 넓고 아랫부분이 완만하게 좁아든 몸통에 낮은 굽을 부착한 병(甁)입니다. 전반적인 형태가 유병(油甁)과 유사한데, 목부분은 일반적인 유병에 비하여 긴 편입니다. 몸통 전면에는 세로로 융기문대(隆起文帶)가 빽빽하게 배치되고 각 융기문의 사이는 점문(點文)들로 채워져 있습..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8.08.08
귀면문암막새(鬼面紋坪瓦) 암막새는 지붕에 사용되는 암키와 끝에 막음 장식을 하는 기와로 드림새가 붙는데 이 드림새에 각종 무늬를 나타냅니다. 이 시기에 가장 보편화된 무늬는 넝쿨무늬[唐草文]지만, 수막새와 마찬가지로 각종 식물무늬뿐만 아니라 동물무늬 등 여러 가지가 표현됩니다. 이 암막새의 귀면무..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8.05.02
토우장식 고배 (土偶裝飾高杯) 가야금을 타고 춤을 추며 풍요를 기원하는 신라사람들의 사상을 해학으로 표현한 토우가 장식되어 있습니다. 토우의 생동감 있는 표정과 동작은 조각작품으로서도 손색이 없을 만큼 표현력이 뛰어납니다. 토우장식 고배 (土偶裝飾高杯) 한국-新羅 5~6 世紀 / 경질토기(硬質土器) 높이 8.5cm..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8.05.01
금으로 만든 귀걸이(金製太環耳飾)황남대총북분(皇南大塚北墳北墳) 귀걸이(金製太環耳飾) 얇은 금판을 둥글게 말아 만든 것으로, 신라 귀걸이 중 가장 크고 화려합니다. 중심고리[主環]에 금알갱이를 붙여(累金技法) 거북등무늬와 세잎무늬, 연결고리(遊環)에도 작은 금알갱이를 붙여 세잎무늬를 표현하였고 중간고리 장식(中間飾)에는 눈테(刻目)가 새겨..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8.04.24
영락장식투각고배(瓔珞裝飾透刻高杯) 이화여대 조사단이 경주 황오동 33호 고분에서 발굴한 작은 고배 1쌍입니다. 다리 뿐만아니라 잔에도 네모 구멍이 촘촘히 뚫렸고 葉形垂飾이 주렁주렁 달렸습니다. 신라토기로는 그 예가 없는 형태입니다. 영락장식투각고배(土器瓔珞裝飾透刻高杯) 韓國 - 新羅時代 《5~6 世紀》/ 慶州市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8.04.23
굽다리목항아리(脚附長頸壺) 회색 경질로 口緣은 內傾하고 턱이 있으며. 頸部는 약간 外傾하는데 경부최하부에는 突帶가 1條 돌려져 있습니다. 어깨가 팽만한 廣肩形의 동체에는 문양이 있는데 肩部의 가운데부분과 동최대경 그리고 동체 중심에 각각 1조씩의 橫沈線이 돌려져 있고 횡침선 사이에 또 각각 1조씩의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8.03.17
토우부장경호(土偶附長頸壺) 이 유물은 항아리의 목과 어깨부분에 다양한 형상의 토우(土偶)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항아리는 경주지역에서 많이 출토되고 있는 5~6세기 代의 신라양식으로 목과 몸체에 원형과 직선문양을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였습니다. 토우는 사람과 자연의 생명체를 주제로 하여, 임신한 여인이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8.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