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막새는 지붕에 사용되는 암키와 끝에 막음 장식을 하는 기와로 드림새가 붙는데 이 드림새에 각종 무늬를 나타냅니다.
이 시기에 가장 보편화된 무늬는 넝쿨무늬[唐草文]지만,
수막새와 마찬가지로 각종 식물무늬뿐만 아니라
동물무늬 등 여러 가지가 표현됩니다.
이 암막새의 귀면무늬의 암막새로서 눈은 고양이의 눈과 흡사하며 코는 人모양으로 밑변이 둥글게 처리 되었고 가운데
귀면의 입으로 부터 양쪽으로 얼굴외곽을 그리며 피어오르는 여기처럼 S형으로 선을 이어나가 진행의 반대 방향으로 말리면서
각각 귀면의 정 중앙 눈썹위에서 위 태두리 선이 되어 만나 연결됩니다.
양옆 S형으로 휘돌아 오르는 모양이 마치 귀면의 입에서 연기를 뿜어내는 듯 느낌을 주며 간결하면서도 구도의 의미가 삼박합니다.
귀면문암막새(鬼面紋坪瓦)
국적/시대 한국(韓國) 통일신라(統一新羅)
재질 토제(土製) 경질(硬質)
크기 길이 28.4cm
출토지 부여 금강사지(금강寺址)
소장기관 학교(學校) / 경희대(慶熙大)
'신라시대(新羅時代) > 신라 유물(新羅 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기대부호(유개) 土器臺附壺(有蓋) (0) | 2008.08.08 |
---|---|
토기병 (土器甁) (0) | 2008.08.08 |
토우장식 고배 (土偶裝飾高杯) (0) | 2008.05.01 |
금으로 만든 귀걸이(金製太環耳飾)황남대총북분(皇南大塚北墳北墳) (0) | 2008.04.24 |
영락장식투각고배(瓔珞裝飾透刻高杯) (0) | 2008.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