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철기(初期鐵器) 슴베 없는 화살촉(無莖石鏃) 대전광역시 서구 괴정동 유적에서 출토된 돌화살촉입니다. 돌화살촉은 대개 화살대와 결합하는 슴베부분[莖部]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슴베 없는 화살촉과 슴베 있는 화살촉으로 나누어집니다. 이 유물은 슴베 없는 화살촉으로 가로 단면이 편평 육각형을 띠고 화살촉의 밑단은 ― 모..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07.07.16
초기철기(初期鐵器) 명도전(明刀錢) 평안북도 위원군 송정면 용연동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화폐입니다. 명도전은 칼 모양 돈(刀錢)의 일종으로 표면에 ′明(명)′이라는 글자가 새겨졌고, 중국 춘추시대 말기에 등장하여 전국시대에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한반도에서는 대동강 이북의 서북한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출토되고 ..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07.07.16
초기철기(初期鐵器) 한국식 동검(韓國式銅劍) 대전광역시 서구 괴정동 유적에서 출토된 한국식 동검입니다. 한국식 동검은 요령식 동검과 마찬가지로 검몸과 자루를 따로 만들었으나 요령식에 비해 검몸이 직선화되고 중간에 오목한 부분이 마디를 이루도록 갈려진 것이 특징입니다. 이 동검은 검몸의 등대에 세워진 각이 검몸 중간..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07.07.16
초기철기(初期鐵器) 한국식 동검(韓國式銅劍)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남성리 유적에서 출토된 한국식 동검으로 총 아홉 점이 출토되었습니다. 한국식 동검은 요령식 동검과 마찬가지로 검몸과 자루를 따로 만들었으나 요령식에 비해 검몸이 직선화되고 중간에 오목한 부분이 마디를 이루도록 갈려진 것이 특징입니다. 이른 시기의 ..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07.07.16
초기철기(初期鐵器) 투겁창(銅鉾) 경상북도 경주시 구정동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것으로 한국식 투겁창의 일종입니다. 한국식 투겁창은 창날이 비파모양을 이루고 있는 요령식 투겁창과는 달리 직선화되고 한국식 동검과 같이 창몸의 등대에 각을 세운 것입니다. 이 투겁창은 등대를 기준으로 창몸 좌우에 피홈[血..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07.07.16
초기철기(初期鐵器) 투겁창(銅鉾)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동에서 발견된 전형적인 한국식 투겁창입니다. 창날이 비파모양을 이루고 있는 요령식 투겁창과는 달리 직선화되고 한국식 동검과 같이 창몸의 등대에 각을 세웠습니다. 이 투겁창은 등대를 기준으로 창몸 좌우에 피홈[血溝]이라고 불리는 긴 홈이 파여져 있으며..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07.07.16
초기철기(初期鐵器) 투겁창(銅鉾) 경상북도 경주시 구정동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것으로 한국식 투겁창의 일종입니다. 한국식 투겁창은 창날이 비파모양을 이루고 있는 요령식 투겁창과는 달리 직선화되고 한국식 동검과 같이 창몸의 등대에 각을 세운 것입니다. 이 투겁창은 등대를 기준으로 창몸 좌우에 피홈[血..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07.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