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도전(明刀錢) 평안북도 위원군 용연동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제 중국 연(燕)나라(BC 323~BC 222) 화폐입니다. 명도전은 칼 모양 돈(刀錢)의 일종으로 표면에 ′明(명)′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중국 춘추시대 말기에 등장하여 전국시대에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한반도에서는 대동강 이북의 서북한 지..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08.01.03
창 (銅矛) 봉부(鋒部)가 일부 결실된 것으로 상반부에는 흑색, 하반부에는 녹색의 녹(綠)이 덮혀 있고, 등대의 날은 관부(關部)까지 갈았습니다. 좌우측에는 각각 3줄의 피홈[血溝]를 새겼는데 등대 가까운 쪽이 길고 인부(刃部)에 가까운 것일수록 짧으며, 등대의 날이 끝난 곳 바로 아래부터 공부( ..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07.10.24
장대투겁방울(竿頭鈴) 경주 죽동리(竹東里)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유물입니다. 1쌍 2점으로 모두 합범(合范)으로 제작된 것인데 같은 거푸집으로 만든 것은 아니지만 세부문양까지 거의 동일합니다. 청동기시대의 제의용품(祭儀用品) 중 방울류에 속하며 장대의 끝부분에 꽂았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속이 ..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07.10.24
동검(銅劍) 동검(銅劍)으로는 매우 긴 편으로 봉부(鋒部)가 9cm정도로 길며 등대의 날은 슴베[莖部] 바로 위까지 갈았다. 등대에 나 있는 둘째 마디는 도드라져 뚜렸하고 첫째 마디는 도드라지지 않았다. 다른 동검들과는 달리 피홈[血溝]이 약간 오목하게 들어갔고, 슴베[莖部]는 검신에 비하여 매우 ..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07.10.24
초기철기(初期鐵器) 대롱옥(管玉)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남성리 유적에서 출토된 벽옥제(碧玉製) 대롱옥(管玉)입니다. 청동기시대의 옥제품은 주로 천하석이나 벽옥으로 만들어졌으며 형태에 따라 곱은옥, 대롱옥, 구슬옥으로 나누어집니다. 주거지와 같은 생활 유적보다는 무덤에서 껴묻거리로 발견되며, 대롱옥은 구..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07.07.16
초기철기(初期鐵器) 단지(壺) 평양 상리 유적에서 출토된 단지(壺)입니다. 짧게 직선으로 선 목을 지닌 항아리[短頸壺]로 회색빛을 띠고 있습니다. 고운 바탕흙으로 만들었으며 윗부분에는 물레자국이, 아랫부분에는 꼰 실이나 새끼를 감은 방망이 자국[繩文打捺]이 확인됩니다. 이 유물은 초기철기시대 중국에서 들..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07.07.16
초기철기(初期鐵器) 검은간토기(黑色磨硏土器) 대전광역시 서구 괴정동 유적에서 출토된 전형적인 검은간토기[黑色磨硏土器]입니다. 검은간토기는 보통 긴 목을 지닌 단지의 형태로 표면에 흑연 등의 광물질을 바르고 잘 문질러 구웠기 때문에 검은 광택이 돕니다. 검은간토기와 자른면이 원형인 덧띠토기[粘土帶土器]는 한반도 중부..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07.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