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랑의 마름모무늬 벽돌(菱形文塼) 회청색의 직사각형의 경질 벽돌입니다. 벽돌 두 면에 한 줄로 선을 그어 구역을 나누고 그 안에 마름모꼴무늬를 넣었습니다. 다른 한 면에는 베[布] 자국이 남아 있습니다. 낙랑시대의 평양 일대와 황해도 부근에 축조한 벽돌무덤[塼築墓]에서 수많은 벽돌이 출토되었습니다. 이 벽돌은 .. 선사(先史)/낙랑(樂浪) 2008.01.03
거북형 도장(龜紐印) 「永壽康寧」이 새겨져 있는 이 龜紐印石印은 「영수강녕」명인장「永壽康寧」銘石印 한국-(樂浪)《1世紀》 / (平安南道 大同郡 石岩里古墳 9號墳 木棺內 출토) /石製 1.5×1.5cm / 국립중앙박물관所藏. 선사(先史)/낙랑(樂浪) 2007.12.05
장옥(葬玉) 장옥이란 무덤에 묻힌 시신을 장식한 玉 입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옥에 신령스러운 힘이 있다고 믿어 시신과 함께 묻었습니다. 매미 모양으로 만들어 입을 막는 것을 함옥(含玉), 귀, 코, 항문 등 신체 구멍을 막는 것은 색옥(塞玉), 돼지 모양으로 만들어 손에 쥐게 한 것은 옥돈(玉豚), 가.. 선사(先史)/낙랑(樂浪) 2007.12.05
동준(銅鐏) 동준은 술을 담거나 데우는 용도로 쓰였습니다. 이 시대 나무곽무덤 단계에서는 북방계 문물인 철복(鐵鍑)이나 동복(銅鍑) 등이 주로 부장되다가 기원 1세기 전후에 중국계 청동 용기로 대체되어 한대 중원 곳곳에서 발견되는 기종들이 많이 보입니다. 가장 많은 청동 용기가 출토.. 선사(先史)/낙랑(樂浪) 2007.12.05
말 드리개(銀製 杏葉) 말갖춤(馬具)은 말을 부리거나 장식을 위하여 꾸미는 여러 가지 도구를 말합니다. 낙랑 유적에서 출토된 것으로는 말의 얼굴을 가렸던 마면(馬面), 말의 입에 물리는 재갈, 재갈을 지지하는 연결대인 재갈멈추개, 말의 꾸미개인 드리개 등이 주를 이릅니다. 낙랑고분의 출토품은 대체로 .. 선사(先史)/낙랑(樂浪) 2007.12.05
낭랑군의 칠기(漆器) 고대 중국에서는 칠기로 만든 술잔 1개가 청동 술잔 10개의 값어치에 해당할 만큼 칠기는 귀중한 물건이었습니다. 낙랑고분에서는 중국의 영향을 본격적으로 받는 귀틀무덤 단계에 들어서면서 많은 양의 칠기가 부장되는데 그 종류로는 귀달린 잔(耳杯), 소반(盤), 책상(案) 국자 등의 식.. 선사(先史)/낙랑(樂浪) 2007.12.05
금제 허리 띠걸이<(黃金製帶鉤) Gold buckle> 머리쪽이 넓고 둥글게 되어 있으며, 안쪽에 이와 평행하게 휘어진 구멍을 만들었고 걸 수 있는 고리를 만들어 허리띠를 매게 하였습니다. 틀을 만들어 그 위에 금판을 놓고 두드려 용의 윤곽을 만들고 금실과 금 알갱이로 큰 용 한마리와 작은 용 여섯마리를 만들었으며, 가장자리는 금실.. 선사(先史)/낙랑(樂浪) 2007.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