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랑(樂浪 353년) 영화구년(永和九年)명 벽돌 1932년 평양역 구내 공사중에 발견된 벽돌무덤[塼築墳]에서 출토되었는데, 이 무덤은 직사각형의 현[合]을 보이고 있어 벽돌무덤에서 돌방무덤[石室墳]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양식을 띱니다. ″영화구년삼월십일요동한현도태수령동리조(永和九年三月十日遼東韓玄菟太守領佟.. 선사(先史)/낙랑(樂浪) 2008.01.07
봉니(封泥) 봉니(封泥)는 관청이나 무역상들이 물품이 부당하게 유출되거나 유사한 방법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품을 담은 고리짝이나 꿰의 고리, 또는 봉물을 넣은 자루 등를 묶은 끈의 매듭에 찰진 흙으로 뭉쳐 감싸고 봉인을 찍어 봉합하는 수단입니다. 봉니(封泥) 한국(韓國) 낙랑.. 선사(先史)/낙랑(樂浪) 2008.01.05
사격S자형무늬 벽돌(斜格S字形文塼) 회청색을 띠는 직사각형 모양의 경질 벽돌입니다. 양쪽 옆면에는 선을 그어 구역을 나누고 그 안에 사선자(斜線子), S자 무늬가 있으며, 다른 한 면에는 베[布] 자국이 남아 있습니다. 한사군시대에 평양역전 부근과 황해도 신천군 일대에서 무수히 많은 벽돌무덤[塼築墳]이 축조되었습니.. 선사(先史)/낙랑(樂浪) 2008.01.05
′낙랑예관′이 새겨진 수막새(′樂浪禮官′銘圓瓦當) 막새면의 중심부에 ″낙랑예관″이라는 글자를 하나씩 도드라지게 새겨 넣고 주위에 구름무늬[雲氣文]를 채운 문자기와 입니다. 전체적으로 보아 문양의 구도가 비교적 안정감을 이룹니다. ′낙랑예관′은 당시 낙랑군에 예관(禮官)이라는 관직이 있었음을 알려주는 자료입니다. 이밖.. 선사(先史)/낙랑(樂浪) 2008.01.04
′경원원년′이 새겨진 벽돌(′景元元年′銘塼) 3개의 벽돌 중 가운데 있는 회청색 벽돌은 직사각형 모양의 경질 벽돌인데, 벽돌의 세 면에서 새겨진 글귀[銘文]와 무늬를 볼 수 있습니다. 그 중 한 면에는 ″경원원년칠월감삼일(景元元年七月甘三日)″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고, 다른 한 면에는 네 개의 마름모꼴 무늬를 방사선으로 .. 선사(先史)/낙랑(樂浪) 2008.01.04
낙랑의 고사리무늬 수막새(蕨手文圓瓦當) 중국의 한(漢)과 낙랑에서 유행했던 형태의 막새 기와입니다. 문양은 고사리무늬[蕨手文]로 불리고 있으며, 낙랑 전 시기 동안 제작하였습니다. 둥근 막새의 표면은 네 부분으로 나누어 그 안을 고사리무늬로 장식하였습니다. 한(漢)시대에 널리 유행했던 고사리무늬[蕨手文]는 천지의 기.. 선사(先史)/낙랑(樂浪) 2008.01.04
낙랑의 마름모무늬 벽돌(菱形文塼) 회청색을 띠는 직사각형 모양의 경질 벽돌입니다. 한 줄로 선을 그어 구역을 나누고 그 안에 마름모무늬[菱形文]를 넣었고, 옆면의 위와 아래에는 돌출된 부분과 홈이 패인 부분이 요철(凹凸)을 이루어 서로 접합하게 되어 있습니다. 한사군시대에는 평양역전 부근과 황해도 신천군 일대.. 선사(先史)/낙랑(樂浪) 2008.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