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씨가 있는 전돌銘文塼 銘文塼과 문양전으로 양 평면에 繩蓆文이 施文되어 있습니다. 일부가 파손,결실 되었으며 일부 틈이 벌어진 것도 있고 반파된 것도 있습니다. 길이모와 작은모에 "大方", "中方", "壬辰年作" 명문이 양각되어 있습니다. 길이모 문양면에 4區로 구획하여 각구에 斜格子文을 두고 사격자문의..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7.07.02
금제거치형관장식(金製鋸齒形裝飾 ) 弓形을 이룬 세장한 金板의 한쪽 가장자리는 직선을 이루고 다른 쪽은 鋸齒形이며 직선을 이룬 쪽에는 바늘구멍만한 구멍이 군데군데 뚫려 있습니다. 왕의 冠飾 근처에서 나와 왕의 烏羅冠에 쓰인 것으로도 보고 있습니다. 금제거치형관장식(金製鋸齒形裝飾 ) 韓國 - 百濟 / 금제(金製) 長..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7.07.02
백제의 건축 와전류(建築.瓦塼) -1번은 회색 경질의 塼으로 중간부위가 금이가 있고 하단에 석회가 묻어 있으며 단변의 문양면에 蓮花文이 있다. -2번은 회청색 경질의 장방형 문양전으로 문양면에 연화문과 斜格文이 있고 약간 휘어졌다. 형태는 완형이나 측면이 약간 파손되었으며 평면에 繩蓆文이 시문되었다. -3번은..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7.07.02
백제의 장신구(金銅製?具附圭形板) 9호 석곽묘에서 촐토된 교구부규형판 2점으로, 교구부규형판 금구 1매 외 규형금구 1매, 그리고 이들을 연결해 주는 '亞'字形 연결금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亞'字形 금구는 연결고리 장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 포흔이 있는 혁대에 못을 박아서 부착해 연결하였습니다. 교구부 규형판 전..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7.07.02
금제영락부원형장삭(金製瓔珞附圓形裝飾) 瓔珞附金製圓形裝飾으로 圓板 중앙이 半球形으로 도드라졌고 무엇인가에 꿰매어 달기 위하여 圓座 주위에 등간격으로 小孔 3개가 뚫려 있으며 반구형의 정상에는 소공 2개를 뚫고 가는 금줄을 꼬아서 원형 영락을 달았습니다. 973점 중 6점은 영락이 탈락되어 있습니다. 금제영락부원형..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7.07.02
동으로 만든 수저 (銅製匙) 무령왕릉 출토 수저 가운데 숟가락은 몸체가 은행알 모양이고 손잡이가 끝으로 가면서 넓어져서 길다란 삼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젓가락의 경우는 지름면이 각(角)져 있습니다. 또한 여러 줄의 돋을선과 가는선을 새겨서 화려하게 장식하여 그 품격을 더해주고 있으며 젓가락 가운데에는..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7.07.02
금제꽃모양장식(金製花形裝飾 ) 6각형 金板의 중앙이 半球形으로 도드라졌고 무엇인가에 꿰매어 달기 위하여 花形座의 花瓣 3잎끝 가까이에 각각 小孔이 하나씩 뚫려 있습니다. 금제꽃모양장식(金製花形裝飾 ) 韓國 - 百濟 / 금제(金製) 徑 1.6 cm / 公州市 武寧王陵 出土 / 國立公州博物館所藏 참고문헌 백제문화개발연구.. 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2007.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