굽잔 (高盃)의 시대적 지역적 변화 삼한시대 후기에 등장한 와질토기 문화의 전통 위에서 중국 도기문화의 영향으로 성립된 새로운 도기 제작 기술에 의 해 탄생한 것이 바로 도질토기입니다. 3세기 후 말엽에 단경호류만 국한되어 제작하던 것이 4세기로 들어서면서 차츰 고배, 기대 등 토기 전 기종으로 그 행위를 넓혀가고, 高杯가 短.. 가야(伽耶)/가야 유물(伽耶遺物) 2008.04.25
마상각배(馬上角盃) 뿔잔은 소나 코뿔소 등 짐승의 뿔을 잘라 술과 같은 음료를 마시던 습관에서 유래된 용기로 처음에는 실제로 뿔을 이용하였겠지만, 점차 상아나 금속, 옥 등으로도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각배가 처음으로 만들어진 것은 기원전 2000년경 이란 아케메네스(Achaemenid)조에서부터 였다고 알려.. 가야(伽耶)/가야 유물(伽耶遺物) 2008.04.25
집모양 토기 (家形土器) 옛 가야지방에서 출토예가 많은 집모양 토기입니다. 4개의 기둥 위에 지은 누상가옥 형태이면서 서까래까지도 표시하고 있어 당시의 가옥구조를 보여주는 좋은 자료입니다. 집모양 토기 (家形土器) 韓國-伽倻 5~6世紀 / 경질토기(硬質土器) 높이 13.5cm / 梨花女子大學校博物館所藏 가야(伽耶)/가야 유물(伽耶遺物) 2008.04.23
오리모양 토기 (鴨形土器) 가야시대의 다양한 오리모양 토기 중 걸작의 하나로 몸에는 여러 印花紋이 새겨졌으며 얼굴 측면에는 귀걸이를 달아 귀여운 모습입니다. 오리모양 토기는 영혼을 내세에 안내한다는 새 숭배적인 주술적 의미가 있는 껴묻거리 토기입니다. <右> <左> 오리모양 토기(鴨形土器) 韓.. 가야(伽耶)/가야 유물(伽耶遺物) 2008.04.23
수레바퀴모양 토기 (車形土器) 배모양 토기와 같은 뜻으로 만들어진 제의용(祭儀用) 토기로 구멍이 뚫린 대위에 2개의 잔과 큰 수레바퀴 2개를 달았습니다. 이런 형태의 수레바퀴는 동서양 모두에서 그 모양이 차이가 없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원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도 큰 변화됨이 없이 쓰이고 있습니다. 수레바퀴모.. 가야(伽耶)/가야 유물(伽耶遺物) 2008.04.23
굽잔(高盃) 고배(高杯)라고도 합니다.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토기 중에도 비슷한 기종이 간혹 보이지만, 삼국시대와 신라 통일기에 주로 유행하였습니다. 제기(祭器)의 일종으로 신라 ·가야지역의 고분에서는 거의 예외없이 발견되며, 회청색의 경질토기가 주류를 이룹니다. 영남지방의 굽다.. 가야(伽耶)/가야 유물(伽耶遺物) 2008.02.29
가락국 시조 왕릉 위치를 새긴 판(始祖駕洛國王陵圖板) 가락국의 시조인 김수로왕(金首露王)의 왕릉 위치를 새긴 도판입니다. 구지봉(龜旨峰) 아래 수로왕릉과 안향각(安香閣), 중문(中門), 외문(外門), 누각(樓閣) 등의 건물이 그려져 있고, 한쪽에는 읍기(邑記)가 새겨져 있습니다. 뒷면에 있는 산청왕산릉도(山淸王山陵圖)는 양왕릉도(讓王陵.. 가야(伽耶)/가야 유물(伽耶遺物) 2008.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