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안장 앞.뒤가리개(金銅裝飾金具) 대체로 가야의 말갖춤은 신라의 것과 비교해 볼때 그 종류는 비슷하나 화려한 점에서는 뒤떨어집니다. 그러나 고령 지산동에서 출토된 이 앞가리개와 뒷가리개를 비롯해서 말띠꾸미개 등은 은판으로 테두리를 장식해서 만들었으며 정교하고 문양이 아릅답습니다. 말 안장 앞.뒤가리개(.. 가야(伽耶)/가야 유물(伽耶遺物) 2009.03.04
사슴장식큰입구멍단지(雙鹿裝飾孔廣口小壺) 인물이나 동물장식토기에 관하여서는 소위 토기의 전체 모습이 인물 모양인 토용이나 동물이나 집, 수레, 배, 등을 표현한 상형토기가 제외되고 일반적인 토기인 굽다리접시나 목단지, 그릇받칩, 잔의 손잡이 등에 붙는 작은 동물과 인물 등을 뜻하며 이를 장식토우라 합니다. 이러한 장.. 가야(伽耶)/가야 유물(伽耶遺物) 2009.02.28
騎馬人物形土器 (기마인물형토기) 토기의 전체적인 모습은 나팔형의 굽다리에 말을 탄 무사와 말의 엉덩이 부분에 두개의 뿔모양의 잔(角杯)이 좌우대창으로 솟아 있습니다. 말의 몸체에는 장방형 판으로 엮어진 갑옷이 착장되었고 말등에는 무사가 앉아 있는데 양다리를 발걸이(登子)에 올려 놓고 머리에는 챙이 있는 투.. 가야(伽耶)/가야 유물(伽耶遺物) 2009.02.20
귀걸이(金製 耳飾) 금판을 이어 붙여 중심고리로 굵은 고리를 만든 굵은 고리 귀걸입니다. 중심고리의 양끝부분은 둥근 원판을 땜으로 마무리하였고, 굵은 고리에 연결된 작은 고리 아래 여러 개의 작은 고리를 서로 붙여서 만든 공 모양 장식이 달렸습니다. 이처럼 구형과 반구형의 장식이 달리는 귀걸이.. 가야(伽耶)/가야 유물(伽耶遺物) 2009.02.18
그릇받침(器臺) 둥근 바닥의 토기를 안정적으로 받치기 위한 받침대입니다. 이 원통형 그릇받침은 반원형으로 퍼진 다리에, 중앙이 공처럼 볼록한 몸통, 그 위에 접시처럼 벌어진 받침을 붙인 형태로, 주로 금관가야지역(김해)에서 출토됩니다. 이러한 그릇받침은 비교적 규모가 큰 무덤에서만 출토되어.. 가야(伽耶)/가야 유물(伽耶遺物) 2009.02.17
그릇받침(爐形器臺) 그릇이 올려지는 부분이 화로모양으로, 둥근바닥의 단지를 올리기 위한 받침이며 주로 가야·신라지역에서 출토됩니다. 이 그릇받침은 몸체가 매우 낮고 입술이 크게 벌어진 형태입니다. 굽다리는 나팔모양으로 크게 바라진 형태이고 굽다리에는 상하 2단의 걸쳐 엇갈리게 굽구멍이 뚫.. 가야(伽耶)/가야 유물(伽耶遺物) 2009.02.17
새무늬청동기(鳥文靑銅器) 길이가 8.6cm인 작은 방패모양의 새무늬청동기는 좌우면에 고사리무늬가 새겨진 돌출부가 있고, 윗면에는 원형고리가 7개 달렸다. 뒷면에는 아무런 무늬가 없고, 앞면에는 크게 상하 2부분으로 나누어 상부에는 손바닥무늬가 있고, 하부에는 새 두 마리가 좌우 대칭으로 새겨져 있습니다. .. 가야(伽耶)/가야 유물(伽耶遺物) 2009.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