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저는 본래 고대 인도의 신(神)이 사용하던 무기의 일종이었습니다.
밀교에서는 진언(眞言)을 외울 때 휴대하는 의식용구로,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모든 악마를 물리치고 지혜광명을 발현시킨다는
상징성을 지닙니다. 금강저는 중앙의 손잡이 부분과 양끝의 갈고리 부분으로 구성되며, 갈고리의 숫자에 따라 독고(獨鈷), 삼고(三鈷), 오고(五鈷), 구고(九鈷) 등으로 세분해서 부릅니다.
이 금강저는 중앙 손잡이 부분과 양끝 다섯 개의 손톱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반적인 형태의 오고입니다.
|
금강저(靑銅 金剛杵)
국적/시대 한국(韓國)-고려(高麗)
재질 금속(金屬)-청동제(靑銅製)
크기 높이 21.5cm
참고문헌
소장기관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朝鮮時代) > 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에 지니는 작은 부처(護身佛像) (0) | 2008.01.27 |
---|---|
몸에 지니는 작은 부처(護身佛像) (0) | 2008.01.27 |
금강령(靑銅 金剛鈴) (0) | 2008.01.27 |
관음보살좌상 (金銅 觀音菩薩 坐像) (0) | 2008.01.25 |
「경암사」 쇠북(瓊巖寺 銘 靑銅 金鼓) (0) | 2008.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