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쪽에는 갈고리모양의 금강저(金剛杵: 승려들이 불도를 닦을 때 쓰는 도구 중 하나)를, 다른 한쪽에는 방울을 붙여 만든 것을 금강령이라 하는데, 이것은 갈고리가 다섯 개인 오고령(五?鈴)입니다.
갈고리 부분은 동물 머리모양의 장식에서 발톱 같은 오고(五?)가 뻗어 나와 가운데로 모인 형태입니다.
제존(諸尊)을 기쁘게 하고, 중생의 잠자는 불성(佛性)을 일깨우기 위해 밀교(密敎)에서는 금강령을 사용합니다.
방울 가장자리가 여섯 개의 꽃잎모양으로 마무리되어 있고 이를 따라 몸체가 여섯 면으로 나뉘어, 여기에 제석천과 범천, 사천왕이 양각으로 주조되어 있습니다.
금강령(靑銅 金剛鈴)
한국(韓國)-고려(高麗) 《세기》/ 청동제(靑銅製) 높이(高)21.1cm / 국립중앙박물관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에 지니는 작은 부처(護身佛像) (0) | 2008.01.27 |
---|---|
금강저(靑銅 金剛杵) (0) | 2008.01.27 |
관음보살좌상 (金銅 觀音菩薩 坐像) (0) | 2008.01.25 |
「경암사」 쇠북(瓊巖寺 銘 靑銅 金鼓) (0) | 2008.01.25 |
불국사 석가탑 사리갖춤(佛國寺 釋迦塔 舍利具) (0) | 2008.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