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시대(高句麗時代)/고구려 유물(高句麗 遺物)

고구려 구의동유적 철기유물(高句麗九宜洞遺蹟址鐵器遺物

鄕香 2008. 1. 5. 19:31

 

구의동(九宜洞)유적은 서울 광진구 구의동에 속하며 서울의 젖줄인 漢江邊의 북쪽에 자리하고 있는 낮은 구릉(해발53m) 정상에 위치하며 높은 편은 아니지만 주변 지역이 낮은 탓으로 주위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 주위에는 아차산성, 몽촌토성, 풍납토성, 석촌동고분군 등의 고구려와 백제의 유적이 혼재해 있으며 양국간의 각축이 심했던 지역입니다. 이 유적은 (직경 14.8m의 築石部와 그 내부의 직경7.6m의 燒土部로 이루어졌음)구덩이를 이중으로 파고 그위에 목조건물을 지은 후 그 가장자리를 돌로 돌려 벽을 만든 고구려의 방어시설로서 아차산성과 더불어 한강의 방어선을 구성하고 있었습니다. 돌벽은 지름15m정도의 둥근 형태로서 깬돌과 냇돌을 섞어 1.0~1.8m의 높이로 안쪽으로 기울도록 쌓았는데 세 군데의 네모진 돌출부가 달려 있습니다. 돌벽 안쪽에서 지름 7.6m의 불탄 원형건물터가 조사되었고, 배수구 . 온돌시설 . 출입시설이 확인되었습니다. 건물터 내부 바닥에서는 暗文이 있는 긴단지 . 병 . 시루 . 사발뚜껑 등의 황갈색 및 회색의 고운 점토질로 만든 고구려계 토기류와  각종  철제무기 및 농공구류가 출토되었습니다. 구의동유적에서는 1,300여점에 달하는 鐵錤를 제외하고도 50여점, 15종에 달하는 鐵器가 출토되었습니다. 한 유적에서 이처럼 많은 종류와 양의 철기가 출토된 것은 흔치 않은 일이며, 출토 철기중 무기류가 많은 점과 더불어  병사들의 두둔을 위한 각종 시설로 볼 때 구의동유적의군사적 중요성을 엿 볼 수 있습니다. 출토된 철기류는 칼(長刀) . 창() . 화살촉(鏃) . 보습(犁) . 삽() . 호미(鋤) . 쇠스랑() . 낫 (鎌.釤)도끼(斧) 등의利器類와 같이 구분할 수 있으나,  낫 (鎌.釤), 칼(斫), 도끼(斧) 등과 같이 여러 가지 기능으로 사용되었던 것들로 추정됩니다.

 

이상과 같이 한강 북안의 전망하기 좋은 구릉 정상부에 위치한 구의동유적은 유적의 입지나, 유구의 성격, 출토유물의 성격 등을 통해 볼 때 백제와 대치하고 있던 고구려의 군사요새로 성격이 밝혀지고 있으며, 이 유적과 연결선상에 있는 아차산 일대의 보루성 유적도 구의동유적과 같은 성격의 유적임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즉, 조사가 이루어지기 이전의 지형도를 보면 구의동유적의 위치는 아차산 일대로부터 이어지는 능선의 끝자락 강변의 小峰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들 서이로 또 다른 구릉이 존재하고 있어 원래는 아차산 일대의 보루성과 연결 선상에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구의동유적과 아차산 일의 유적은 같은 시기의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고구려 第20代 長壽王 이후의 고구려 남진 정책 일환으로 한강 이남을 공격하기 위한 군사 전초기지로 파악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봅니다.

이러한 추정은 이들 유적이 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지점이 漢城百濟의 중심지로 밝혀지고 있는 夢村土城과 風納土城, 石村洞, 芳荑洞古墳群 일대라는 사실로도 충분히 타당성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이 유적이 축조된 시기의 上限은 고구려가 한강 이남을 점령하기 이전인 4세기 중엽 경으로 비정할 수 있으며, 폐기 시점은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6세기 중엽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구의동유적에 대한 이러한 연대관은 출토유물이 대체로 5세기 중엽 경의 고구려 유물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점으로도 뒤받침되고 있습니다

 

 

 구의동유적 수혈내부 온돌유구 노출상태 (蓋石除去後)

 

 

 구의동유적 배수로 노출 전경

 

 긴칼 두 점(鐵長刀)

高句麗5世紀/길이(上)67.3cm 폭3.1cm /서울大學校所藏

 

 투컵창 각종(鐵鉾 各種) 

高句麗 5世紀/길이(右)8.9cm 폭3.9cm /서울大學校所藏

 

 화살촉 각종(鐵鏃 各種) 

高句麗 5 - 6 世紀/길이(右)25.0cm 폭0.9cm /서울大學校所藏

 

 

 창고달이 . 끌(鐵  . 鐵鑿) 

高句麗 5 - 6世紀/길이(右)20.6cm 폭2.0cm /서울大學校所藏

 

 

 도끼 각종(鐵斧 各種) 

高句麗 5 - 6世紀/길이(右)16.3cm 폭6.5cm두께3.0 /서울大學校所藏 

 

 도끼 . 호미 . 투컵창(鐵斧 . 鐵鋤 . 鐵) 

高句麗 5 - 6世紀/길이(左)13.2cm 폭5.3cm /서울大學校所藏

 

 칼 각종(鐵斫 各種 )

高句麗5 - 6世紀/길이(上)21.5cm 폭11.2cm /서울大學校所藏

 

 낫 각종(鐵鎌 各種)

高句麗5 - 6世紀/길이(上)27.5cm 폭3.8cm 두께0.5cm /서울大學校所藏 

 

 솥 (鐵釜)

高句麗5 - 6世紀/구경31.8cm,높이35.2cm,저경10.4cm /서울大學校所藏

 

 솥 (鐵釜)

高句麗5 - 6世紀/구경15.0cm,높이16.5cm,/서울大學校所藏

 

 

 보습 (鐵犁)

高句麗5 - 6世紀/높이44.4cm,폭34.4cm두께1.3cm /서울大學校所藏

 

 

 보습 각종(鐵犁 各種)

高句麗5 - 6世紀/(左)길이25.5cm,폭24.8cm두께0.8cm /서울大學校所藏

 

 쇠삽날 각종(鐵 各種)

高句麗5 - 6世紀/(左)길이20.6cm,폭12.8cm두께1.7cm /서울大學校所藏

 

호미 . 각종(鐵鋤 各種) 

高句麗 5 - 6世紀/길이(右)15.2cm 폭10.3cm /서울大學校所藏

 

 쇠스랑 각종() 

高句麗 5 - 6世紀/날길이(左)12.1cm 폭13.0cm /서울大學校所藏

 

  통형철기(筒形鐵器)

 高句麗5 - 6世紀/길이12.0cm,지름9.3cm,/서울大學校所藏

 

 

參考資料 : 서울大대학교發掘遺物圖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