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복숭아 모양 연적(白磁 靑畵銅彩 桃形 硯滴) 복숭아의 특징을 잘 나타낸 연적입니다. 특히 복숭아 꼭지는 붉은빛이 나는 동화 안료를 사용했고, 잎은 푸른빛을 띠는 청화 안료를 사용하여 산뜻한 분위기를 표현하였습니다. 복숭아는 전통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서 왕모(西王母) 전설′의 영향으로 다수(多壽)를 의..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08.04.10
백자 복숭아 모양 연적(白磁 靑畵銅彩 桃形 硯滴) 단단하게 잘 익은 복숭아 모양의 연적입니다. 줄기와 잎새까지 곁들여 아담한 크기로 만든 것으로, 은은한 자줏빛 구리 안료와 푸른색 청화안료를 자연스럽게 칠했기 때문에, 청홍(靑紅)빛 대비가 산뜻하면서도 신선한 느낌입니다. 백자 복숭아 모양 연적(白磁 靑畵銅彩 桃形 硯滴) 韓國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08.04.10
백자 무릎 모양 연적(白磁 膝形 硯滴) 연적은 벼루에 물을 붓기 위해 물을 담아 두는 그릇으로서 두 개의 작은 구멍이 있어 물을 담고 따르기에 용이하게 만든 것입니다. 현존하는 조선시대의 연적은 대부분 조선 후기의 것들입니다. 그 형태는 사각.부채.육각.보주.두꺼비.해태.물고기.거북.화형.무릎형.복숭아.환형 등 다양..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08.04.10
백자철화죽문편병(白磁鐵畫竹文扁甁) 푸른 발색의 백자유 둥굴고 넓적한 편병의 면에 철화로 시문된 대나무 잎이 마치 둥근 보름달에 담긴 가을 밤의 서정적 시각을 줍니다. 이러한 편병은 조선 초기 15세기`16세기에 유행하던 유형으로 분청사기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백자철화대나무무늬편병(白磁鐵畫竹文扁..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08.04.10
.백자양각죽문청채죽절형병(白磁陽刻竹文靑彩竹節形甁) 원통형(圓筒形)의 동체(胴體)를 깎고 다듬어 죽절형(竹節形)으로 만들고 한쪽 모서리에 죽절형(竹節形)의 주구(注口)를 접합(接合)하였는데, 그 이음세는 주구(注口)의 무게 때문에 약간 내려 앉았습니다. 동체(胴體)의 상단(上段)과 하단(下段)에 죽엽(竹葉)의 도드라진 무늬를 새겼으며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08.04.10
.백자 모란 나비 무늬 편병(白磁 象嵌 牡丹蝶文 扁甁) 상감백자는 연질(軟質)과 경질(硬質)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 그릇 표면에 가는 금이 그물처럼 번져 있고 부드러운 우윳빛을 띠는 연질 상감 백자는 고려 백자의 맥을 이은 것으로 경상도를 중심으로 한 지방 가마에서 많이 만들어 졌으며, 그릇의 모양이나 무늬가 상당히 세련되었습니다...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08.04.10
백자 장생 무늬 병(白磁 靑畵 長生文 甁) 긴 목이 어깨부터 서서히 벌어져 몸체 아래에서 풍만해지다가 넓고 낮은 굽으로 이어지는 안정감 있는 형태의 병입니다. 19세기 분원에서 제작되던 다양한 형태 중 하나입니다. 입 부분에 번개 무늬[雷文]와 연꽃잎 무늬를, 굽에는 두 줄의 선을 돌렸으며, 몸체는 산악을 배경으로 구름·..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08.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