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숭아의 특징을 잘 나타낸 연적입니다.
특히 복숭아 꼭지는 붉은빛이 나는 동화 안료를 사용했고, 잎은 푸른빛을 띠는 청화 안료를 사용하여 산뜻한 분위기를 표현하였습니다.
복숭아는 전통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서 왕모(西王母) 전설′의 영향으로 다수(多壽)를 의미하며 한편으로 아들과 다남(多男)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백자 청화동채도형연적(白磁 靑畵銅彩 桃形 硯滴)
조선19세기/높이7.8cm,밑지름5.5cm/國立中央博物館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백자(白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자산모양연적(白磁靑畵山形硯滴) (0) | 2008.04.10 |
---|---|
백자 두꺼비 모양 연적(白磁 靑畵銅彩 蟾形 硯滴) (0) | 2008.04.10 |
백자 복숭아 모양 연적(白磁 靑畵銅彩 桃形 硯滴) (0) | 2008.04.10 |
백자 무릎 모양 연적(白磁 膝形 硯滴) (0) | 2008.04.10 |
백자철화죽문편병(白磁鐵畫竹文扁甁) (0) | 2008.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