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조선 후기의 연적으로 두꺼비 모양을 한 연적입니다.
두꺼비는 한민족의 신화와 속담에 자주 등장하는 동물로, 집을 지키는 수호신(守護神)과 부귀영화를 가져오는 재복신(財福神)을 상징하는 지혜로운 영물입니다. 개구리같이 생겼지만 몸집이 훨씬 크고 살가죽이 두꺼우며 온 몸에 우둘두둘한 것이 솟아있습니다. 이 연적에는 두꺼비의 특징들이 간략하면서도 빠짐없이 표현되어 있습니다. 피부의 거친 돌기는 작은 꽃모양 돌기점(突起點)으로 귀엽게 양각되었으며, 몸체에는 자주빛 동화안료(銅畵顔料)를 입혀 살아있는 듯 활기차며, 장난스러워 보이는 얼굴 표정도 재미있습니다. 조선후기 선비의 사랑방을 장식했던 다양한 연적 중 하나입니다.
백자 두꺼비 모양 연적(白磁 靑畵銅彩 蟾形 硯滴)
조선(朝鮮) 《19세기》/도자기(陶磁器)-백자(白磁)/높이 4.7cm/國立中央博物館 所藏
2 . 순백자 연적으로 입 가운데에 水出口가 뚫려있고 양각의 눈과 몸통과 뒷다리에 꽃무늬가 9개 양각으로 표현되었습니다.
푸른 끼가 도는 담청의 백자유를 시유하여 번조하였고 일부 손실되었으며 상태가 그리 좋지 않습니다.
백자 두꺼비 모양 연적(白磁 蟾形 硯滴)
조선(朝鮮) 《19세기》/도자기(陶磁器)-백자(白磁)/높이 3.2cm,8.1×4.7/國立中央博物館 所藏
3 . 두 개의 연적으로 하나는 다른 하나 보다 좀 작으나 한 가마에서 생산된 것으로 보입니다.
표정과 모양이 귀엽고 납 성분이 있는 釉로 시유하여 번조하였습니다.
백자 두꺼비 모양 연적(白磁 靑畵銅彩 蟾形 硯滴)
조선(朝鮮) 《19세기》/도자기(陶磁器)-백자(白磁)/높이 5.2cm 길이9.4cm, 높이 4.0cm 길이7.1cm/梨花女子大學校 博物館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백자(白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자청화철채산모양연적(白磁靑華鐵彩山形硯滴) (0) | 2008.04.10 |
---|---|
.백자산모양연적(白磁靑畵山形硯滴) (0) | 2008.04.10 |
.백자 복숭아 모양 연적(白磁 靑畵銅彩 桃形 硯滴) (0) | 2008.04.10 |
백자 복숭아 모양 연적(白磁 靑畵銅彩 桃形 硯滴) (0) | 2008.04.10 |
백자 무릎 모양 연적(白磁 膝形 硯滴) (0) | 2008.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