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관이부병(靑磁管耳附甁) 푸른 靑磁釉에 변색된 청동의 검은 색처럼 보이는 부분적으로 노출된 태토의 조화가 마치 靑銅器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이 甁은 口緣과 頸部가 사각형을 이루며 점차 角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동글려 어깨와 동체 中心部에 까지 내려가다가 하나의 큰 돌대를 두고 胴體下部는 角을 완전히 없앤 .. 외국(外國)/옛 그림.도자기(中國) 2010.09.01
청자종형병(靑磁琮形甁) 器 모양이 옥으로 빗은 듯 중후한 기운이 감도는 원통형을 기본으로 四隅의 角을 둔 方形의 병입니다. 灰黑色의 태토를 사용하였으며, 유색은 굴곡에 深度의 차이가 있으며 釉面에는 氷裂이 縱橫으로 기하적 문양처럼 생성되어 있습니다. 尾張德川家에 전해오던 꽃병으로 쓰이던 것으로, 굽 밑에 "忠.. 외국(外國)/옛 그림.도자기(中國) 2010.09.01
청자발(靑磁鉢) 口緣(사발 입 언저리)의 6개소에 활모양으로 깎아 꾸며 꽃모양으로 묘사한 口緣에 金屬製로 돌려 입혔습니다. 두텁게 입혀진 청자유는 깊고 맑은 水色으로 마치 碧玉처럼 그윽함에 젖게 합니다. 燒成後 유입된 찬공기로 인하여 全面에 縱橫으로 생성된 氷裂은 오랜 세월에 이물질의 검은 색이 스며 들.. 외국(外國)/옛 그림.도자기(中國) 2010.08.31
청자삼족향로(靑磁三足香爐) 중국 고대 청동기시대의 銅鼎을 닮은 청자 향로입니다. 口緣部가 外反되어 端定한 그 위에 半環形의 耳가 상반되게 마주 붙어 있으며, 구연 아래의 胴上部는 頸처럼 좁혔다가 서서히 넓혀 내려가다 다시 胴下部에 이르러 급격히 좁혀 底部에 이르러 3개의 脚을 마련하였습니다. 좁혀진 胴上部 3곳과 .. 외국(外國)/옛 그림.도자기(中國) 2010.08.29
백자양각모란당초문봉수병(白磁陽刻牡丹唐草文鳳首甁) 1935년에 "대중국미술展"에 출품 전시되었던 대영박물관所藏品으로 중국陶磁의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봉황 머리 위에 백합꽃 모양의 볏(冠)으로 注口를 표현한 口緣部, 나팔을 엎어 놓은 것 같은 원주형의 목에 5개의 동그란 突帶를 두른 頸部, 胴 가운데에 최고의 지름을 중심으로 上下로 같은 비중으.. 외국(外國)/옛 그림.도자기(中國) 2010.08.29
백자양각연화문호(白磁陽刻蓮花文壺) 최대의 지름을 긴 동체 중앙에 두고 좁은 口緣에 잠금 장식을 한 뚜껑을 肩部 양편에 그 뚜껑의 잠금장치를 걸어 잠글 수있는 장식을 설치하였습니다. 문양은 肩部에 1線帶을 돌려 구확을 두고 그 線帶 위에 覆蓮文을 陽刻으로 시문하고 동체부에는 三段을 두고 큼직한 花葉의 蓮花文을 全面에 정연하.. 외국(外國)/옛 그림.도자기(中國) 2010.08.27
청백자각화연화문반(靑白磁刻花蓮花文盤) 胴體部는 대접 같으나 굽은 碗처럼 좁고 작은 일종의 托杯같은 모양입니다. 엎어 놓은 원추형 모양에 안 바닥에 낮게 원형으로 연꽃문양을 눌러 새긴 것처럼 자국을 낸 것이 花托 모양과 같다는 생각을 가지게 합니다. 또한 구연부가 마치 전처럼 묘사되어 蓋付를 위한 것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同時.. 외국(外國)/옛 그림.도자기(中國) 2010.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