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166

신라 . 가야 토기의 발생 (定義 . 古式陶質土器)

1 . 정의 (定義) 신라와 가야에서 제작 사용된 토기를 일컫는 것으로, 적갈색 연질토기와 회청색경질토기로 나눌 수 있으며, 좁은 의미로는 회청색 경질토기만을 일컫습니다. 소형토기를 제외한 대부분은 기벽을 단단하게 두드린 후 물레로 모양을 잡았으며, 1200℃를 넘는 고온의 굴가마에서 구워졌습..

한반도에서의 뿔잔의 유래와 뿔잔의 형태

우리나라에서 뿔잔의 형태가 처음 보인 시기는 신석기시대의 유적인 부산 동삼동 조개더미에서 출토된 뿔모양의 토기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크기가 10cm 전후이며, 그릇의 모양이 통통하여 이후 삼국시대에 보이는 뿔잔과는 약간 다른 형태이며 정확히 어떠한 용도의 그릇이었는지도 불분명합니다. ..

수레모양토기(車形土器)

수레모양토기는 대체로 굽다리 위에 2개의 수레바퀴가 양측에 놓이고 그 바퀴사이에 뿔잔모양이나 작은 항아리가 쌍으로 마주보게 만든 형태가 대부분이므로 그 수레모양 토기 또한 제의를 행할 때 술과 같은 것을 담아 쓰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慶州 계림로 25호 옹관묘에서 소형의 明器들과 함께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