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 가야 토기의 발생 (定義 . 古式陶質土器) 1 . 정의 (定義) 신라와 가야에서 제작 사용된 토기를 일컫는 것으로, 적갈색 연질토기와 회청색경질토기로 나눌 수 있으며, 좁은 의미로는 회청색 경질토기만을 일컫습니다. 소형토기를 제외한 대부분은 기벽을 단단하게 두드린 후 물레로 모양을 잡았으며, 1200℃를 넘는 고온의 굴가마에서 구워졌습..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09.08
한반도에서의 뿔잔의 유래와 뿔잔의 형태 우리나라에서 뿔잔의 형태가 처음 보인 시기는 신석기시대의 유적인 부산 동삼동 조개더미에서 출토된 뿔모양의 토기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크기가 10cm 전후이며, 그릇의 모양이 통통하여 이후 삼국시대에 보이는 뿔잔과는 약간 다른 형태이며 정확히 어떠한 용도의 그릇이었는지도 불분명합니다.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09.06
뿔잔의 기원과 정의 뿔잔은 소나 코뿔소 등 짐승의 뿔을 잘라 술과 같은 음료를 마시던 습관에서 유래된 용기로 처음에는 실제로 뿔을 이용하였겠지만, 점차 상아나 금속, 옥 등으로도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각배가 처음으로 만들어진 것은 기원전 2000년경 이란 아케메네스(Achaemenid)조에서부터 였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09.06
신발모양토기(履形土器) 신발모양토기는 짚신이아 가죽신의 모양을 본떠 만든 상형토기의 일종을 말합니다. 신발의 종류에 따라 두 가지 정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짚신모양을 본뜬 것으로 최근 까지 사용한 짚신의 모양과 흡사합니다. 이것은 고배의 굽다리에 짚신모양을 앉히고 그 위에 다시 잔을 올려 놓은 형태..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09.06
수레모양토기(車形土器) 수레모양토기는 대체로 굽다리 위에 2개의 수레바퀴가 양측에 놓이고 그 바퀴사이에 뿔잔모양이나 작은 항아리가 쌍으로 마주보게 만든 형태가 대부분이므로 그 수레모양 토기 또한 제의를 행할 때 술과 같은 것을 담아 쓰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慶州 계림로 25호 옹관묘에서 소형의 明器들과 함께 출..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09.06
배모양토기(舟形土器) 다른 상형토기와 마찬가지로 金鈴塚 출토품처럼 굽다리 위에 배를 붙인 형식과 단순히 배모양만 만든 두 가지 형식이 있으며, 호암 소장품 중에는 굽다리 위에 붙은 배의 좌우현에 수레바퀴를 붙인 독특한 것도 있습니다. 한편 배의 내부에는 한쪽에 사람이 두 손으로 노를 젓고 있는 모습을 만들어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09.06
집모양토기(家形土器) 집의 바닥 형태로 보아 네 개의 기둥으로 받쳐 올린 고상가옥 형식과 일반적인 지상식의 두가지 형식으로 분류됩니다. 지붕의 구조는 고구려의 집모양토기만 우진각식 지붕이지만, 나머지는 모두 맞배집 형식이며, 지붕의 세부적 표현으로 볼 대 지상식은 골을 표현하고 있어 기와지붕으로, 고상가옥..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