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위(酒令具) 안압지바닥 뻘층에서 발굴된 참나무로 만들어진 14면체로 이루어진 이 주사위는 酒宴에서 흥을 돋우는 일종의 놀이기구의 일종으로 이 것을 굴려 나타나는 면에 쓰여진 글의 내용에 따라 행동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 내용 중에는, '술 석 잔 한번에 마시기' , '스스로 노래 부르고 스스로 마시기' . '술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12.11
금동가위(金銅鋏) 안압지에서 출토된 촛불 . 등잔의 탄 심지를 자르는데 쓰인 가위입니다. 잘린 심지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날 바깥 둘레에 반원형의 테두리를 세워 아물리면 동그란 그릇처럼 되어 잘린 심지받이가 되지요. 全面에 걸쳐 역동적인 魚文과 唐草文이 정교하게 새겨져 있습니다. 통일신라는 일..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11.30
금동용수간두(金銅龍首竿頭) 절의 종파와 위치를 알아 볼 수 있도록 절 입구에 세우는 기둥의 선단으로 당간(幢竿)이라고 하는 것의 꼭데기 부분입니다. 닭의 벼슬에 기린의 귀 봉황의 눈을 가지며 입술은 올라가고 아래 위 송곳니가 위로 치솟고 여의주를 물고 포효하는 모습이 표현되었습니다. 뱀의 몸통 같은 목 등에는 갈기가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11.30
굽은 옥(曲玉) 담갈색(淡褐色) 의 굽은 옥(曲玉)에 금모(金帽)를 씌운 것으로써 金帽는 다수의 돋을 띠를 두른 작은 반원구슬을 상하좌우 일정 간격으로 장식하고 테두리는 蛇龍文으로 突帶를 두고 굽은 옥 머리에 눈처럼 管通된 구멍에 맞춰 양편에 귀를 장식하여 그 通孔에 金絲 2개를 꼬아 만든 금줄..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11.30
금목걸이(金製頸飾) 황남대총98호분의 피장자 머리 아래에 착용한 것으로 보이는 상태의 위치에서 출토된 금으로 된 목걸이입니다. 금으로 만든 曲鈺을 중심으로 좌 . 우로 속이 빈 금구슬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식하고 그 사이는 金環을 길게 오므려 접어 연결한 金線을 金球에 붙은 고리에 연결한 목걸이로써 金球는 ..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11.30
금제감장보검(金製嵌裝寶劍) 피장자의 허리로 추측되는 부분에서 출토되었습니다. 형태와 장식수법이 신라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대 다수의 칼들과는 상이하게 이색적으로 색체와 문양이 다채롭고 화려합니다. 손잡이 끝은 반타원형의 가운데에 타원형의 붉은 마노석을 배치하고 점선문(粒金細工)을 돌려 장식하고,..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11.30
청동제초두(靑銅製鐎斗) 초두(鐎斗)는 술이나 물과 같은 액체를 끓이거나 데우는 데 사용하던 그릇의 하나로 자루솥이라고도 하는데, 대개 다리가 세 개 달리고 긴 손잡이가 붙어 있으며 주로 청동을 재료로 합니다. 자루솥의 시작은 중국에 있으며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백제와 신라지역에서 주로 출토되며,.. 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2009.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