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유역의 문화 (石室墳의 展開) 3세기에 발생하여 4~5세기에 걸쳐 성행한 옹관고분은 나주 반남지역에서 거대분구와 화려한 부장유물로 最盛期의 고분문화를 형성하였고 5세기 후반에 이르면 점차 쇠퇴하게 됩니다. 그리고 매장주체가 변화된 石室墳이 나타나게 됩니다. 새로 만들어지는 석실분은 입지와 분구형태, 석.. 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2011.01.28
영산강유역의 문화 3 (出土遺物.裝嚴具.鐵器) 『장엄구(裝嚴具)』 甕棺에서 출토된 장엄구(裝嚴具)에는 나주(羅州) 신촌리(新村里) 9號 을옹관(乙瓮棺)의 금동보관(金銅寶冠), 금동신발(金銅飾履), 은제단봉환두대도(銀製單鳳環頭大刀) 등이 있습니다. 관모(冠帽)는 신라와 가야고분에서 純金製, 銀製, 金銅製가 상당수 출토되었지만 고구려와 백제.. 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2011.01.27
영산강유역의 문화 2 (出土遺物.土器) 『영산강유역 출토유물 각종토기』 영산강유역의 옹관출토 토기는 회백색계의 연질토기와 회청색의 경질토기로 대별할 수 있으며 적갈색의 연질토기도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토기의 절대량은 항아리종류(壺類)가 차지하고 있는데 30cm 내외의 둥근 짧은 목항아리(球形 短頸壺)가 많습니다. 단경호.. 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2011.01.26
영산강유역의 문화 1 (墳丘의 巨大化) 영산강유역에서 발견되는 초기 분구묘(墳丘墓)는 토광묘(土壙墓)가 중심묘제로 등장합니다. 그 뒤 이러한 분구에 옹관묘(甕棺墓)가 追加되는 형태를 보이는데 이 시기의 분구묘는 그다지 높지 않은 구릉에 위치합니다. 분구의 둘레에 墓域으로서 周溝가 파여지고 이 때 나온 흙을 분구의 성토에 이용.. 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2011.01.25
유리 소옥주범(琉璃小玉鑄範) 유리제작기술은 기원전 2세기경 중국을 통해서 들어온 것으로 보입니다. 즉 鑄造鐵器들과 공반된 琉璃管玉들이 가장 오래된 것이며, 이어서 둥근 감색 또는 綠色으로 된 小玉들이 제작됩니다. 유리범은 납작한 粘土板에 직경 5mm 정도의 半球形의 홈을 配列하고 중앙부에 바늘로 구멍을 ..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11.01.20
발화구(發火具) 불을 얻는 도구로 발화대와 막대의 세트로 이루어집니다. 新昌洞에서 출토된 發火具는우리나라 불의 역사와 관련된 최초의 자료입니다. 회전마찰방식(回轉摩擦方式)으로 구멍이 파진 發火臺에 발화막대를 집어넣고 빠르게 回轉시키면 불씨가 발생하고 여기에서 부싯깃 등에 옮겨 불을 .. 선사(先史)/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2011.01.20
영산강의 고대문화 (墳丘墓 . 遺物 各種.) 原三國時代 후기 또는 삼국시대 초기가 되면 榮山江流域에서도 새로운 문화요소의 유입으로 墓制의 변화가 나타나게 됩니다. 청동기시대의 무덤인 支石墓나 積石木棺墓가 소멸하고 대신 土壙墓나 甕棺墓가 유행하게 됩니다. 초기의 토광묘는 墳丘의 유무를 확인하기 어려운 것들이었지만 곧자연지.. 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2011.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