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상감구름학무늬매병(靑磁象嵌雲鶴文梅甁) 술을 담아 두거나 술병으로 사용했을 매병에 뚜껑이 남아 있는 예는 드뭅니다. 이 뚜껑은 잔으로도 사용했을 것 같은데 뚜껑 윗면에는 학이, 옆면에는 구름이 상감되어 있고 입술에는 번개무늬가 띠처럼 돌려져 있습니다. 몸통의 입구 부분과 굽 둘레에는 번개무늬[雷文]의 띠를, 어깨 부..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9.12.19
.청자상감운학문호(靑磁象嵌雲鶴文壺) 안으로 오무린 비교적 짧은 구연에 번개문을 백상감으로 돌리고, 원만하게 바라진 어깨에는 흑백상감으로 연판문을 돌리고 두 줄의 횡선대(二條橫線帶) 밑에 원점문(眼文)의 띠를 돌리고 몸체(胴體)에 도식화된 구름무늬를 인화기법으로 새겨 바탕무늬로 한 다음 상단과 하단 상에 하강..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9.12.19
.청자 모란넝쿨 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靑磁 象嵌 牡丹唐草文 瓢形 注子) 조롱박 모양 주전자는 중국 당송(唐宋)시대의 자기에서 비롯되지만 전체적인 선의 흐름이나 각 부분의 비례 등을 보면 외래 문화를 말끔히 벗어버린 고려화된 형태입니다. 몸통 아래에는 도안화된 모란무늬가 소담스럽게 역상감되었습니다. 역상감(逆象嵌)이란, 나타내고자 하는 무늬의..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9.12.18
.청자 죽순 모양 주전자(靑磁 竹筍形 注子) 죽순 모양을 한 주전자입니다. 죽순은 상형 청자의 소재로 자주 이용되었습니다. 죽순모양의 몸통에 댓가지를 본뜬 손잡이와 곁가지 모양을 한 出注口를 붙였으며, 뚜껑도 솟아나는 죽순의 형태로 된 장식적인 주전자입니다. 죽순의 윤곽선은 반양각으로, 잎맥은 가는 음각선으로 정성..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9.12.18
.청자양각 도철문향로(靑磁陽刻 饕餮文香爐) <도철(饕餮)이란, 때로는 사람도 도식하며 무엇이든 먹어치우는 불가사의한 상상의 동물입니다. 도철문은 龍.虎.牛.鹿의 네가지가 있으며, 매우 탐욕스러워 인간이 제물을 바쳐야만 만사가 평화로워 진다는 동물. 우리나라는 치우(蚩尤)라하여 도깨비 모양의 原形이 있습니다.&g..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9.12.17
.청자양각 도철문향로(靑磁陽刻 饕餮文香爐) 청자양각도철문향로는 중국 은(殷) 주(周) 때의 고동기(古銅器)인 삼족정(三足鼎)의 형태와 문양을 청자로 번안해 낸 예 가운데 하나입니다. 원래 중국 고동기의 형태와 문양은 더 복잡하고 난해하지만 고려청자에서는 그것을 단순화시켰습니다. 고려청자 가운데는 이 작품보다 훨씬 더 ..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9.12.17
옥등잔(玉燈盞) 대리석으로 불리는 玉石을 가공하여 몸체를 반구형으로 하고 밑바닥은 편평하게 하여 구연부의 마주보는 곳에 각각 1개씩의 구멍을 뚫어 등걸이를 꽂아 걸게 만든 등잔을 흔히 옥등잔, 옥등 또는 禪燈으로 불리웠습니다. 옥등잔 가운데 작은 것은 인등引燈으로도 불리워졌는데 대게 불.. 고려시대(高麗時代)/금속.토기(金屬.土器) 2009.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