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 363

.청자상감구름학무늬매병(靑磁象嵌雲鶴文梅甁)

술을 담아 두거나 술병으로 사용했을 매병에 뚜껑이 남아 있는 예는 드뭅니다. 이 뚜껑은 잔으로도 사용했을 것 같은데 뚜껑 윗면에는 학이, 옆면에는 구름이 상감되어 있고 입술에는 번개무늬가 띠처럼 돌려져 있습니다. 몸통의 입구 부분과 굽 둘레에는 번개무늬[雷文]의 띠를, 어깨 부..

.청자 모란넝쿨 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靑磁 象嵌 牡丹唐草文 瓢形 注子)

조롱박 모양 주전자는 중국 당송(唐宋)시대의 자기에서 비롯되지만 전체적인 선의 흐름이나 각 부분의 비례 등을 보면 외래 문화를 말끔히 벗어버린 고려화된 형태입니다. 몸통 아래에는 도안화된 모란무늬가 소담스럽게 역상감되었습니다. 역상감(逆象嵌)이란, 나타내고자 하는 무늬의..

.청자 죽순 모양 주전자(靑磁 竹筍形 注子)

죽순 모양을 한 주전자입니다. 죽순은 상형 청자의 소재로 자주 이용되었습니다. 죽순모양의 몸통에 댓가지를 본뜬 손잡이와 곁가지 모양을 한 出注口를 붙였으며, 뚜껑도 솟아나는 죽순의 형태로 된 장식적인 주전자입니다. 죽순의 윤곽선은 반양각으로, 잎맥은 가는 음각선으로 정성..

.청자양각 도철문향로(靑磁陽刻 饕餮文香爐)

<도철(饕餮)이란, 때로는 사람도 도식하며 무엇이든 먹어치우는 불가사의한 상상의 동물입니다. 도철문은 龍.虎.牛.鹿의 네가지가 있으며, 매우 탐욕스러워 인간이 제물을 바쳐야만 만사가 평화로워 진다는 동물. 우리나라는 치우(蚩尤)라하여 도깨비 모양의 原形이 있습니다.&g..

.청자양각 도철문향로(靑磁陽刻 饕餮文香爐)

청자양각도철문향로는 중국 은(殷) 주(周) 때의 고동기(古銅器)인 삼족정(三足鼎)의 형태와 문양을 청자로 번안해 낸 예 가운데 하나입니다. 원래 중국 고동기의 형태와 문양은 더 복잡하고 난해하지만 고려청자에서는 그것을 단순화시켰습니다. 고려청자 가운데는 이 작품보다 훨씬 더 ..